52.15.59.163
52.15.59.163
close menu
KCI 등재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토론수업의 효과분석 -웹기반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arning Effects in App-Based And Web-Based Online Debate Instruction
김희배 ( Hee Bae Kim ) , 연고운 ( Ko Woon Yeon )
DOI 10.15833/KAFEIAM.21.4.645
UCI I410-ECN-0102-2016-370-000636395

본 연구는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수업과 컴퓨터를 활용한 웹 기반 온라인 토론수업의 학습효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대학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온라인 토론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과 방법이 무엇인가를 실증적으로 탐구 제시하는데 그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스마트미디어 기반과 웹 기반 온라인 토론수업의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측면에서는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실시간 운영과 비실시간 운영 온라인 토론수업의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측면에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반 유형별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차이 분석과 관련하여, 공간의 제약이 없는 스마트미디어를 사용하는 학습자들이 공간의 제약을 받는 웹 기반 학습자들에 비해 학습동기, 학습몰입이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운영 유형별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차이 분석과 관련하여, 상호작용이 활발한 실시간 운영의 온라인 토론수업이 비실시간 운영 온라인 토론수업에 비해 학습동기, 학습 몰입이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온라인 토론 학습이 학습자의 소극적 학습참여, 피상적 토론 활동으로 인해 깊이 있는 지식 획득과 창의적 사고능력의 개발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토론수업이 직접적인 면대면 토론이나 웹기반에 비해 부담이 적고 자유로운 소통과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결과를 낳는다고 볼수 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미디어 기반의 온라인 토론학습을 활성화 시켜나감으로써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도를 높여 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학습매체로서의 스마트미디어의 활용 가능성을 신장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학습자의 참여를 중시하는 현대 교육패러다임에서 스마트미디어,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의 활용은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 증진 보조는 물론 학습역량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methods in term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aching effects of online debate instruction based on the conventional personal computers and those of online debate instruction based on smart phones. We have reach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ith regard to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learner``s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between App-based learners and Web-based learners, we discovered that the former showed higher learner``s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than the latter restricted by space. Second, with regard to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learner``s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between synchronous online debate instruction and asynchronous online debate instruction, the former tending toward active interaction displayed higher learner``s motivation, and learning flow than the latter. This is possibly because, compared to face-to-face debate instruction, App-based synchronous online debate instruction gives less burden to the participants, and accordingly results in fre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hus creating high learning effect. Indeed, there is some truth in the argument that since learners are reluctant to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itself, superficial online debate instruction is not suitable for acquiring profound knowledge and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In conclusion, we believe that the activation of App-based online debate instruction will help not only improve learner``s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but also stretch out the feasibility of a smart phone as a learning medium. Furthermore, we expect that in the current educational paradigm of emphasizing learners`` participation, the employment of such mobile tools as smart phone and tablet PC will be of service to reinforc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as well as to increase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