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63.58
3.145.163.58
close menu
KCI 등재
정책수단의 효과성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 중앙행정기관 공무원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The Case of Government Agencies in Korea
송성화 ( Sunghwa Song ) , 전영한 ( Young Han Chun )
UCI I410-ECN-0102-2016-350-000637243

정부가 활용하는 정책수단은 매우 다양하며, 각각의 정책수단이 갖는 효과성에 대한 인식도 인식주체 혹은 정책수단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정책수단은 무엇이며, 이러한 정책수단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적 혹은 개인적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39개 중앙행정기관에 소속된 공무원 1,200여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에 대한 위계적선형모형(HLM)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정부에서 시장유인을 활용한 정책수단에 대한 관심과 활용이 증대하고 있다는 일부의 시각에도 불구하고 공무원들은 규제와 같이 강제적인 수단이 정책목표 달성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공무원의 정책수단 효과성 인식의 영향요인으로는 해결해야 할 정책문제의 다양성, 정책기능, 제도적 위치, 인적규모 등의 조직적 특성과 직급과 재직기간 등의 개인적 특성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공무원의 정책수단 효과성 인식은 정책수단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주장과 실제정책수단의 활용간의 간극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시사적이다. 특히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이 강제적 규제를 매우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은 기존의 규제완화 노력이 실질적 결과로 이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 준다고 볼 수 있다.

A government utilizes multiple policy instruments to achieve policy goals. A percep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differs depending upon evaluato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olicy instruments. This study examined which instruments are more effective to achieve policy goals and which factors influence on the perception about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by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1,200 public officials working in 39 central government agencies in Korea. The data for this study was analyzed in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findings suggest that public officials perceive that coercive instruments such as regulation are more effective to achieve policy goals despite the increasing interest in and use of market-based instrument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policy problem complexity, policy function, institutional location, and organization size were found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At the individual level, position and tenu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erceived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The results are important in that it could explain the gap between theoretical claims of policy instruments and actual utilization of policy instruments to accomplish policy goals. In particular, public officials, who take central roles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recognize that the mandatory regulations are effective instrument. This finding shows that the efforts for deregulation might not have practical effects.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의 분석틀
Ⅳ. 연구자료 및 분석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