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247.31
13.58.247.31
close menu
KCI 등재
도시환경 수준과 개인의 건강지표와의 상관성 분석: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Correlations between the Built Environment and Residents` Health in Daegu
김은정 ( Eun Jung Kim ) , 김태환 ( Tae Hwan Kim )
UCI I410-ECN-0102-2016-330-000600833

본 연구는 대구시를 대상으로 도시환경 수준과 개인의 건강지표와의 연관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도시환경 자료는 2012년 KOPSS 자료, 건강자료는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핫스팟분석, 상관분석 및 T-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핫스팟 분석결과, 양호한 주관적 건강수준 인지율은 뚜렷한 공간자기상관성이 있었고, 걷기실천율, 중등도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스트레스 인지율도 다소간의 공간자기상관성이 존재하였다. 도시환경과 건강수준 변수간의 상관분석 결과, 공원 및 하천 접근성, 커뮤니티시설 혼합도 등이 걷기실천율, 중등도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스트레스인지율, 주관적 건강수준인지율과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었다. 이와 함께 T-검정 결과는 몇몇 변수에서 건강지표값이 양호한 지역에서 도시환경 수준도 양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의 건강이 의료 및 보건학적 접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지리 및 도시계획적 접근의 노력과 함께 병행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즉, 개인의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장소 중심의 도시정책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During the past decade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ilt environment and health has emerged as one of the top topics, especially among health geography and epidemi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ilt environment and health in Daegu. This study uses the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KOPSS) and the Community Health Survey. Hotspot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test, and T-test were used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health conditions. They showed that levels of walking,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had strong positive autocorrelation and self-reported health status was very strongly concentrated in hot and cold spots. Environmental attributes such as accesses to park and river, and mixture of facilities associated with walking(+), physical activity(+), stress(-), and self-reported health status(+). By collaborating to build synergism, health geographers, urban planners, and pubic public health scientists can enhance efforts to build healthy communit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