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239.195
18.116.239.195
close menu
KCI 등재
국어 어말음 "ㄱ"의 교체와 변화에 대하여
The Alternation and Historical Change of Korean Word-final "k"
박석문 , 서장국 ( Chang Kook Suh )
반교어문연구 41권 315-334(20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605168

본고는 국어의 어말음 ``ㄱ``과 ``ㅎ``, ``ㄱ``과 ``ㅇ``의 음운교체를 나타내는 어휘들의 음운 관계를 설명하면서 중세국어의 ``ㅎ``종성체언의 어말음 ``ㅎ``이 ``ㄱ``의 변화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밝히고, ``ㄱ``과 반모음 ``ㅣ``와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위해 고대국어에서부터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의 어형뿐만 아니라 방언형도 함께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중세국어의 ``돓``을 예를 들면, 중세국어에서는 ``돓``에 대응하는 ``돍``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돌``에 대응하는 고대국어의 어형으로 ``돌악``이, 근대국어의 어형으로 ``돍``이 존재한다. 이러한 점에서 ``ㄱ``과 ``ㅎ``을 교체로 보기보다는 ``ㄱ``에서 ``ㅎ``으로의 통시적인 변화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중세국어의 ``ㅎ`` 종성 체언의 ``ㅎ``도 ``ㄱ``에서 변화한 것으로 논의하였다. 또한 국어의 어말음 ``ㄱ``과 ``ㅇ``의 교체를 보이는 ``구덕~구덩``과 ``바닿~바닥~바당``을 통해 ``ㄱ``이 ``ㅇ``으로 변화한 것으로 논의하였다. 따라서 ``ㄱ``, ``ㅎ``, ``ㅇ``의 교체는 통시적으로 ``ㄱ``이 각각 ``ㅎ``과 ``ㅇ``으로 변화한 것이다. 국어 어말음 ``ㄱ``과 ``y``의 관계를 나타내는 ``바닥~바닿~바대``의 ``ㄱ``과 ``y``도 통시적인 변화에 의해 ``ㄱ``이 ``ㅎ``으로 변한 후 활음 ``ㅎ``이 ``y``로 변화된 것으로, ``ㄱ~ㅇ~y``의 교체를 보이는 ``굶~구멍~구메``는 ``ㄱ``이 각각 ``ㅇ``과 ``y``로 변화된 것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k``, ``h``, ``ŋ`` and ``y`` which show alternations in some group of words in Korean.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we will try to account for characteristics of ``h`` found in Middle Korean word-final ``h`` declension nouns. For this analysis, we will consider word forms from Old Korean to Contemporary Korean as well as various dialectal forms. Take tolh(stone), for instance. In Middle Korean, there is no word tolk corresponding to tolh. We can assume that for the Korean word tol, there existed tolak in Old Korean, which suggests that ``k`` and ``h`` are not the result of alternation but the result of sound change ``k`` > ``h``. Consider a case of word-final alternation between ``k`` and ``ŋ`` : patah ~ patak ~ pataŋ. This pattern can also be explained as a diachronic sound change of ``k`` > ``ŋ``(patak > pataŋ). Word-final consonantal alternations among ``k``, ``h`` and ``ŋ`` are the result of diachronic sound changes (``k`` > ``h``, ``k`` > ``ŋ``). Another type of data reveals that there may be some relations between ``k`` (``h``) and ``y`` as the following forms show: wuh~wuk~wuy ``above``, seh~sek~sey ``three``, neh~nek~ney ``four``, patah~patak~patay ``sea``, saypak~saypay (:saypyeok) ``dawn``. It is assumed that ``y`` is derived through the change of word-final ``k`` (patak > patah > patay).

1. 서론
2. 국어 어말음 ‘ㄱ’
3.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