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48.135
3.144.48.135
close menu
KCI 등재
비판이론의 규범적 토대로서 인정 개념의 재구성
Reconstructing “Recognition” as a Normative Foundation of the Critical Theory
조주영 ( Ju Young Jo )
시대와 철학 26권 4호 279-312(34pages)
UCI I410-ECN-0102-2016-100-000586721

이 논문은 비판이론의 규범적 토대로서 호네트가 제시하는 인정 개념이갖는 한계를 지적하고, 인정 개념을 재구성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인정 개념이 인정 가능성을 통치하는 규범과 연관되어 있는 한, 인정 역시정당화의 요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즉, 인정 개념이 규범적 토대로 제시될수 있으려면 인정 가능성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대답이 먼저 제시되어야 한다. 호네트의 인정 개념이 갖는 한계는 인정이 상호주관적 관계 안에서 제시된다는 점, 그리고 형식적 보편주의의 틀로 제시된다는 점에서 발견할 수 있다. 2장과 3장에서 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다. 4장에서는 인정을 욕망개념으로 이해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욕망은 주체의 지위를 얻고자 하는 욕망, 사회적 삶을 얻고자 하는 욕망을 의미한다. 사회적 삶을 부여받는 한에서만 개인이 주체로 인정된다는 점에서, 인정 가능성은 삶의 가능성과연관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인정 개념은 삶의 가능성을 여는 방향으로 재구성 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I try to indicate that “recognition” suggested by Axel Honneth as a normative foundation of the critical theory has a limit, and to suggest that “recognition” is needed to reconstruct. To the extent that “recognition” is related to a set of norms that govern recognizability, “recognition” has to face with requirement of justification. That is, in order to suggest “recognition” as a normative foundation, first of all, we must respond to the question of what recognizability determines. The limit in Honneth`s “recognition” would be found out that recognition is suggested in intersubjective relation and formal universalism. This is dealt with in chapter 2 and chapter 3. In chapter 4, I would suggest that we have to understand “recognition” as “desire”. Here, “desire” means a desire to acquire a position of the subject, to take social life. Recognizability is related to possibilities of life, in recognizing a person as the subject to the extent that a person is endowed with social life. In this sense, “recognition” is needed to reconstruct to open possibilities of life.

1. 들어가는 말
2. ‘상호주관성’ 개념에 내재한 배제의 가능성
3. 형식적 보편주의의 문제
4. 욕망으로서 인정 개념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