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86.56
3.139.86.56
close menu
KCI 후보
통합 정도에 따른 지적장애아의 사회성 발달 특성
The Socialit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the Integration Degree
박찬웅 ( Chan Ung Park )
UCI I410-ECN-0102-2016-370-000526338

본 연구는 완전통합 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아들과 시간제 특수학급 그리고 전일제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아들 간에 사회성 발달 유형과 사회적 기술의 발달정도에 있어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초ㆍ중등 일반학교 전일제 특수학급과 시간제 특수학급 및 완전 통합학급에 배치되어 재학 중인 생활연령 11.2~18.6인 지적장애아 66명이었다. 대상아동은 집단별로 사회관계망의 크기를 통제하여 짝짖기에 의한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아동의 사회관계망 크기를 조사한 척도는 Hough(1986)가 개발한 Social Network Interview를 번안하고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대상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측정한 도구는 Gresham과 Elliott(1990)이 개발하고 김향지(1996)가 번안한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Social Skill Scale)이었다. 연구 결과, 사회성 발달 유형의 집단 간 차이는 통합의 정도가 높은 완전통합에 배치된 지적장애아들의 경우 획득결함보다는 수행결함이 훨씬 더 많으며, 비교적 통합의 정도가 낮은전일제 특수학급의 지적장애아들은 획득결함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기술 발달의 집단 간 차이는 전체 사회적 기술은 완전 통합된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이 시간제 특수학급 이었고, 전일제 특수학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 영역별로는 협력의 영역은 전일제 특수학급의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주장 영역의 경우는 시간제 특수학급이 가장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으나 두 영역 모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자아통제 영역의 경우는 완전통합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일제 특수학급 집단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통합정도에 따른 사회성 발달 유형은 통합의 정도가 높은 완전통합에 배치된 지적장애아가 획득결함보다 수행결함이 더 많으며, 통합의 정도가 낮은 전일제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아는 획득결함이 상대적으로 더 많다. 둘째, 통합정도에 따른 지적장애아의 사회적 기술 발달에 있어 전체적인 사회적 기술은 통합의 정도가 높은 완전통합에 배치된 지적장애아가 더 높으며, 통합의 정도가 낮은 전일제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아가 가장 낮다. 세부 영역별로는 협력과 자기주장 영역은 통합정도에 따른 배치환경 간에 차이가 없으나, 자아통제 영역의 경우는 통합의 정도가 높은 완전통합에 배치된 지적장애아가 더 높으며, 통합의 정도가 낮은 전일제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아가 가장 낮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sociality developmental types and social skills acquisition amo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full-inclusive class, part-time special class, and full-time special class. The participants were 66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d 11.2 to 18.6 chronological age from full-inclusive class, part-time special class, and full-time special clas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he researcher controled the social network size and grouped students by making a pair. For investigating the social network size, the Social Network Interview by Hough(1986) were translated and modified and for investigating social skills of participants, Social Skill Scale of Gresham and Elliott(1990) translated by Kim(1996)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or the difference of sociality developmental types,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full-inclusive class that have high integration degree tended to have performance deficiency rather than acquisition deficiency. Howeve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full-time special class that have low integration degree tended to have acquisition deficiency rather than performance deficiency. In addition, for the difference of social skills development, the students of full-inclusive class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of social skills and the students of full-time special class showed the lowest mean score of social skills. Specifically, students from full-time special class had the highest mean score in the cooperation domain and students from part-time special class had the highest mean score in the self-advocacy domain, without hav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However, the mean score of self-control domain was highest for the students in full-inclusive class and lowest for students in full-time special class with hav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ociality developmental type by the integration degre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full-inclusive class that have high integration degree tended to have performance deficiency rather than acquisition deficiency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full-time special class that have low integration degree tended to have acquisition deficiency rather than performance deficiency. Second, for the social skills development by the integration degree, overall social skills were highest for the students of full-inclusive class that have high integration degree and lowest for the students of full time special class that have low integration degree. Specifically,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mean score in the cooperation and self-determination domain among groups divided by the integration degree. However, for the self-control doma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full-inclusive class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and students from full time special class showed the lowest mean scor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 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