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249.105
3.129.249.105
close menu
KCI 후보
강화제 제시 방법과 유형이 장애학생의 직업기술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Conditions and Types of Reinforcers on the Fluency of Vocational Task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최진혁 ( Jin Hyeok Choi ) , 우은진 ( Eun Jin Woo ) , 김진희 ( Jin Hee Kim ) , 박재국 ( Jae Kook Park )
UCI I410-ECN-0102-2016-370-000526343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직업기술 교수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강화 조건과강화제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H 특수학교 학생 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독립변인과 종속변인간의 기능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지연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종속변인으로 10개의 볼트와 너트 5세트를 조립하는데 필요한 지속시간을 측정하였으며, 독립변인으로 강화 조건과 강화제 유형에 따라 즉각·분산 강화 조건-소모성 강화제, 즉각·분산 강화 조건-조작성 강화제, 지연·누적 강화 조건-소모성 강화제, 지연·누적 강화 조건-조작성 강화제의 총 4가지 서로 다른 중재단계를 제시하였다. 중재는 약 3주에 걸쳐 주 2회 실시되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연구 대상자별 강화 조건과 강화제 유형에 따른 직업기술 과제 수행 시간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하지만 모든 연구대상자는 강화를 제공하는 중재단계에서 기초선에 비해 짧은 시간에 주어진 직업기술 과제를 완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reinforecment conditions and types of reinforcers on the fluency of the vocational tasks for 2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enrolled at a special education school. A delayed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was employed to investigate a potential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three week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reinforcement resulted in the higher rate of the correct vocational responses with a shorter amount time of task comple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accroding to the types of reinforcement conditions (i.e., immediate-distributed vs. delayed-accumulated reinforcement conditions) and reinfercers (i.e., consumable vs. manipulative reinforcer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