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168.172
3.143.168.172
close menu
KCI 후보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특수교사의 성교육 실태분석: (2005-2014년의 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Sex Education Conducted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ocusing on studies of 2005-2014)
박근필 ( Keun Pil Park ) , 이영철 ( Young Chul Lee )
지적장애연구 17권 4호 159-176(18pages)
UCI I410-ECN-0102-2016-370-000526398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2005년부터 2014년까지)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특수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총 14편의 선행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청소년들이 보이는 성행동 특성 중 빈도가 높은 것은 타인 만지기, 자위행위, 옷벗기이며,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성 관련 질문 및 요구도, 성지식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것은 신체 구조와 변화, 결혼과 결혼 생활이다. 둘째, 지적장애 청소년을 가르치는 특수교사가 생각하는 성교육 실시 목적에서 빈도가 높은 것은 부적절한 성행동 감소, 성의식ㆍ성윤리 습득이고, 특수교사들은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성적 권리로 성적으로 이용당하지 않을 권리, 사회적ㆍ성적 행동에서 교육ㆍ훈련 받을 권리, 사회적으로 허용된 성을 표현할 권리, 자신의 개인적 사생활을 가질 권리로 다양하다. 셋째, 지적장애 청소년에 대한 성교육 내용에서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성폭력 예방과 대처, 성역할의 특징과 차이점(양성평등 포함), 임신과 출산ㆍ양육이고, 성교육 자료로는 슬라이드ㆍ비디오ㆍ영화가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한다. 넷째, 지적장애 청소년에게 성교육을 실시할 때 어려운 점에서 가장 빈도가 많은 것은 교사 자신이 내용과 방법을 몰라서이다. 다섯째, 성교육 개선방안으로 전담교사 확보 및 배치, 교사 연수 기회의 확대가 가장 많은 빈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es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recognition of teachers on sex education who are conducting the sex education o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or the past 10 year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total 14 precedent stud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sex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o touch others, masturbation, and to take clothes off showed highest frequency among sex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physical structure, physical changes, marriage, and married life showed high frequency in questions related to sex, demand, and sexual knowledge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ly, reduction in inappropriate sexual behavior and acquisition of sexual consciousnessㆍsexual ethics showed high frequency in purpose of sexual education conducted by teacher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eachers considered privilege against to be used sexually, right to receive education and training for social and sexual behavior, right to express socially acceptable sex, and right to have personal private life as the sexual right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irdly, contents that showed highest frequency in sexual educa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prevention and coping methods for sexual violence, characteristic and differences of the gender role(including gender equality), pregnancy, childbirth, and rearing of children, and slide, video, and film showed highest frequency for materials of sexual education. Fourthly, for difficulty in conducting the sex education to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eachers not having knowledge in contents and method showed highest frequency. Fifthly, procurement and placement of responsible teachers and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opportunity showed highest frequency for the improvement plan of sex education.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