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248.47
3.21.248.47
close menu
KCI 후보
문학 : 사론(史論) 산문(散文)을 통해 본 조선조 군주론의 향방 -"한문제(漢文帝)" 제재 사론 산문을 중심으로-
Literature Edition : The Direction of the Monarchism of the Joseon Dynasty Viewed through Historical Essays -Focusing on historical essays on Han Emperor Wen
김영은 ( Young Eun Kim )
온지학회 2016.01
온지논총 46권 121-156(36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480376

본 논문에서는 조선조 한문제(漢文帝) 유항(劉恒, B.C 202∼157) 제재사론 산문을 살펴보고, 조선 지식인들이 생각한 이상적 군주의 모습은 어떠하였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성리학적 기틀 위에 세워진 조선은 유교의 덕치주의와 민본 사상을 바탕으로 왕도정치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조선 창건의 주역인 사대부 계층은 군주의 도덕성 함양이 곧 통치능력과 연결된다는 논리를 폈고, 왕에게 부단한 자기 수양을 요구하였다. 17∼18세기, 양란(兩亂)을 잇달아 겪은 조선의 지식인들은 나라가 망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 속에서 난세(亂世)의 실질적 주재자인 군주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한다. 이에 국가 통치에 관한 다양한 견해들이 본격적으로 쏟아지고, 군주의 실책이나 공과(功過)를 담은 사론 산문이 등장한다. 왕권과 신권 사이의 팽팽한 긴장감이 유지되는 조선이지만, 조선 후기로 갈수록 권력의 중심축은 신하들에게 있었다. 이전 시기와 달리 군주를 직접적 제재로 삼은 사론 산문들이 비약적으로 증가한 데에는 이와 같은 배경이 있다. 이중 한문제는 당태종과 더불어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성군으로 인식되었고, 군주론의 제재로 자주 호출되었다. 한나라 문제는 중국 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삼대지치’와 ‘왕도정치’를 구현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한문제 제재 사론 산문은 내용에 따라 ‘첫째, 전반적으로 한문제의 인정과 덕치를 칭송하는 글, 둘째, 한문제가 사치하지 않고 검약을 존숭하였다는 글, 셋째, 한문제의 외척 관리에 대해 논한 글, 넷째, 인재 등용에 대해 평한 글, 다섯째, 오왕(吳王) ‘유비(劉비)’와 연관된 글’ 등이 있다. 이는 조선 지식인이 강조했던 군주통치 조목과도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각 의론들은 다시 ‘외척(外戚) 배척 : 제가(齊家)’, ‘인재 등용 : 용인(用人)’, ‘절검(節儉) : 안민(安民)’, ‘국가 안위 : 외치(外治)’와 묶을 수 있고, 한문제의 ‘겸양’한 태도에서 군주의 ‘수신’과도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각각의 의론들은 문제의 행실을 긍정할 때도, 부정할 때도 있지만 대부분 한문제의 선정(善政)에 초점을 두었다. 그의 부정적인 면모를 드러낸 글들도 후대 군주를 권계하기 위함이라는 원론적인 층위에서 다루어졌다. 또 여타 군주 제재 사론 산문들이 주로 군주의 내적 덕목을 강조하였다면, 한문제 제재 사론 산문은 군주의 내적 수신과 동시에 실질적 국가 통치 조목과도 연관 지어 포폄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한문제의 치세는 조선조 국가 경영의 전범 역할을 상당부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historical essays on Han Emperor Wen (漢文 帝) Liu Heng (劉恒, B.C 202∼157)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figure out the image of an ideal ruler conceived by Joseon intellectuals. Joseon, a state founded on the Neo-Confucian framework, pursued benevolent royal government based on Confucian virtuous governance and people -centered thought. The class of literati, who led the foundation of Joseon, argued that the ruler’s moral cultivation was linked to his governing ability and persistently demanded self-cultivation of the king. Having experienced the two great wars in the 17th∼18th centuries in succession, Joseon intellectuals began to deliberate on the role of the king, the practical leader throughout troubled times (亂世), in the consciousness of crisis that the country could fall. In this situation, various opinions were expressed on state governance, and historical essays appeared that discussed rulers’ faults and their merits and demerits. A high tension had been maintained between royal power and vassal power during the Joseon Dynasty, but the pivot of power was shifted to the vassals in the later period. This provided the background for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historical essays that discussed rulers directly compared to those in the previous ages. Among the rulers, Han Emperor Wen was regarded as one of sage kings along with Tang Emperor Taizong by Joseon intellectuals, and therefore, he was often called out as a theme of monarchism.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Korea, Han Emperor Wen was recognized as a figure who implemented ‘the rule of the three dynasties Xia, Yin, and Zhou’ and ‘benevolent royal government.’ Depending on their contents, historical essays on Han Emperor Wen are largely divided into five groups: first, those praising the emperor’s benevolent governance and virtuous ruling; second, those spotlighting the emperor’s simple and frugal lifestyle; third, those discussing the emperor’s control of maternal relatives; fourth, those evaluating the emperor’s selection of talented people; and fifth, those related to Wu King (吳王) Liu Bei (劉비). The arguments can again be grouped into themes such as ‘the exclusion of maternal relatives (外戚): stabilizing the family (齊家),’ ‘selection of talented people: employment of people (用人),’ ‘frugality (節儉): people’s welfare (安民),’ and ‘national security: diplomacy (外治).’ In addition, Han Emperor Wen’s ‘humble’ attitude can be explained in association with his ‘self-cultivation.’ Each argument affirmed or denied Emperor Wen’s conducts, but most of the essays focused on the emperor’s benevolent rule (善政). Even the writings disclosing the emperor’s negative faces maintained the fundamental stance that they were for admonishing future rulers. What is more, while historical essays on other rulers emphasized their inner virtue, those on Han Emperor Wen praised and criticized the emperor in association not only with his inner self-cultivation but also with items of his actual state governance. In this sense, Han Emperor Wen’s government is believed to have played the role of a model for the state management of the Joseon Dynasty.

Ⅰ. 머리말
Ⅱ. 군주(君主) 제재 사론 산문의 등장 배경
Ⅲ. 조선 지식인의 한문제(漢文帝) 논의 양상
Ⅳ. 한문제, 국가 경영의 전범(典範) 제시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