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66.98
18.118.166.98
close menu
KCI 등재
현대 프랑스 페미니즘이 직면한 현실 (1) -미국산 프랑스 페미니즘의 탄생과 확산을 중심으로
The reality of contemporary french feminist (1)-Around birth and diffusion of french feminism invented in US
강초롱 ( Cho Rong Kang )
DOI 10.19115/CKS.23.3.10
UCI I410-ECN-0102-2016-800-000804807

페미니즘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프랑스 페미니즘은 거의 언제나 중요한 위상을 차지해 왔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프랑스 페미니즘 이론이 현대 페미니즘 비평계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오늘날의 현실을, 프랑스 페미니즘계가 결코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심지어 이들은 현대 페미니즘 담론에 등장하고 있는 프랑스 페미니즘은 진정한 프랑스 페미니즘이 아니라고 주장하기까지 한다. 이들에 따르면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프랑스 페미니즘은 프랑스 내에서 발전해 온 페미니즘의 본질과는 무관한, 미국을 중심으로 한 영미권 여성학 학자들에 의해 새롭게 ‘가공’된 인위적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들은 프랑스 페미니스트들이 실제로 발전시켜 온 ‘프랑스 페미니즘’과, 미국 여성학계의 손을 거쳐 새롭게 탄생한 ‘프렌치 페미니즘’을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프랑스 페미니스트들의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동의로부터 시작된 본 연구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 프랑스 페미니즘이 ‘프렌치 페미니즘’으로 왜곡되기에 이르렀는지, 그리고 그러한 왜곡이 이루어지게 된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현대 프랑스 페미니즘이 직면하고 있는 외적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도모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특히 프랑스 페미니즘에 대한 미국 여성학계의 ‘접근 및 재현 방식’상에서 드러난 문제를 중심으로 우리의 논의를 전개하고자 했다. 프랑스 페미니즘이 왜곡되기에 이른 최초의 계기는 바로 70년대 프랑스 사회를 강타했던 여성해방 운동, 일명 MLF의 내적 갈등으로부터 비롯되었다. 68혁명을 기점으로 1970년대를 수놓았던 MLF는 이전부터 계속되어 왔던 프랑스 여성운동의 계보를 잇는 동시에, 그것이 지닌 한계를 인식하고 그것을 뛰어넘고자 했던 집단적 흐름이었다. 우선 MLF에 참여했던 여성들은 프랑스 여성운동의 계보를 잇는 차원에서 여성의 남성과 동등한 공적 영역에 대한 참여권을 요구하며 선배들이 전개해 왔던 투쟁을 계속해서 이어나갔다. 하지만 동시에 이들은 선배들이 취했던 주체 및 사회를 바라보는 기존의 관점이 지닌 한계를 비판하면서 가부장제의 근본적인 해체로 요약될 수 있는, 보다 급진적인 투쟁을 전개해 나가기도 했다. MLF가 선택한 급진적인 투쟁 방식의 면모를 보여주는 특징들로는 남성들과의 분리주의 노선을 채택했다는 점을 비롯하여, 집단 혹은 체제 중심이 아닌 개개인이 주도하는 정치를 추구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가부장제의 철폐라는 공동의 목표 아래 연대 투쟁을 중시했던 70년대 초반과 달리 7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는, MLF 내에 점차 분열과 갈등의 분위기가 강하게 자리 잡기 시작한다. 이들 가운데에서도 사회 체제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실천 투쟁을 우선시했던 이들과, 가부장적 상징 체계의 구조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해체할 수 있는 이론적 도구의 정립을 우선시했던 이들 간의 대립이 가장 주목할 만하다. MLF에 참여했던 대다수의 여성들이 전자의 입장을 취했던 반면, 후자의 입장은 ≪정신분석과 정치≫라는 하나의 집단에 의해만 적극적으로 옹호되었다. 이 두 가지 입장 사이의 충돌이 가시화된 시점은 1974년으로, 이 시기를 기점으로 MLF는 본격적으로 분열의 시기에 들어서게 된다. 그리고 이들 간의 분열은 앙투와네트 푸크라는 강력한 리더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조직력을 갖추었던 ≪정신분석과 정치≫가 막강한 자본력을 앞세워 출판 시장을 장악하고 그와 동시에 MLF의 발언권 역시 독점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이 단체의 승리로 막을 내리게 된다. 문제는 이러한 내적 사태가 미국 여성학계의 필요와 맞물리면서 프랑스 페미니즘의 왜곡 및 그것의 왜곡된 버전의 국제적 확산이라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197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약 10년 동안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미국 여성학계에 의한 프랑스 페미니즘에 대한 왜곡 내용은 이론보다는 행동을 중시하는 동시에, 라캉 및 후기구조주의를 여성 조건의 유물론적 탐구보다 우선하고, 문학과 철학적 담론을 사회 및 역사적 담론보다 중요하게 간주하는 경향의 페미니즘이라는 틀 속에 프랑스 페미니즘을 가두는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태의 발생 원인의 일부를 미국 여성학계의 무지에서도 찾을 수 있지만, 상당히 정형화된 방식으로 현대 프랑스 페미니즘에 왜곡을 가해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왜곡 사태는 의도적 결과물로 간주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이러한 사태를 초래한 미국 여성학계의 의도로 우리는 우선 크게 두 가지에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학제간 연구가 80년대의 미국 내에서 자리 잡지 못했었다는 점, 둘째, 미국 학계가 외국 학문을 대할 때마다 일관되게 제국주의적 태도를 견지해왔다는 점, 이 두 지점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이에 덧붙여 세 번째 원인으로 우리는 현대 페미니즘이 직면할 수밖에 없었던 역설 앞에서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택한 일종의 자기방어적 전략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즉 미국 여성학계는 단순한 무지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자신들이 택한 페미니즘 노선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프랑스 페미니즘의 실체와 너무나 다른 ‘프렌치 페미니즘’이라는 새로운 담론을 만들어 냈던 것이다. 그리고 국제 사회에서 미국이 발휘하고 있는 커다란 영향력으로 말미암아, 오늘날 국제 여성학 연구자들 중 상당수가 미국 여성학계가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 자의적으로 탄생시킨 ‘프렌치 페미니즘’을 프랑스 페미니즘의 전부로 인식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In the history of feminism, french feminism takes an important status. What is interesting however is that, for most french feminists, this reality can not be accepted uncritically. Moreover, they do not hesitate to affirm that the french feminism, which deals with importance in the feminist discourse today is not their own feminism. According to them, the concept of french feminism, which is recognized everywhere in the world, is only a result produced by the anglophone feminists, which does not take at all into account the full context of feminism in France. In this context, they claim forcefully the need to distinguish the french feminism developed by themselves of the feminism invented by the anglophone feminist, that is to say, of the ``french feminism``. Our study, based on the basic agreement with questioning of this reality of french feminists, is primarily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french feminism came to deform, revive and spread by anglophone feminists, and, moreover, to understand the reasons for this situation. It is for us to question how they ``represent`` the french feminism; well, we will suspend the judgment on the rightness of their perspective on feminism or concrete context of their discourse. The first occasion of this situation is given by an internal crisis of the french feminist society: the conflict between the participants in the MLF, which refers to the collective political struggle of french women in 1970 whose claim is truly to deconstruct the patriarchal system. The conflict stemmed from the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 positions about the priority to lead the struggle, between a group called ≪Psych and Po≫ and other participants of MLF. ≪Psych and Po≫ differs mainly clear from other participants in his major way to struggle against patriarchal system : for the latter, the women`s movement must concentrate in a struggle against the social system, because the subordination of women is essentially the result of social condition. On the other side, ≪Psych and Po≫ claimed that the symbolic system must be subverted first, since it is the most responsible for the oppression of woman. In this position, the group developed the necessary theories for discourses on the subversion of symbolic system of patriarchy. However, it is not this difference itself that caused the conflict in MLF; one can find the determining factor in the mistaken ambition of this group, who wanted to present itself as the political and intellectual center of the MLF by appropriating the history and struggles of MLF. Indeed, he put this ambition into practice by appropriating the right to speak of MLF through his organizational strength and influence on publishing market. Finally, this attempt has arrived with the result that the groupe has succeeded to legally gain the exclusive property on the name MLF in 1979. The alteration of french feminism, started by this inner conflict, arrives to worsen in the process where it was introduced in the United States. The american feminist academy, interested in the new french feminism since 1968, began to introduce it to american readers, but under the perspective of ≪Psych and Po≫. Therefore, in the United States, the prospect that the new french feminism is not anything other than the idea of ?this group was installed. It was defined as an idea that prefers the theory to practice, the Lacan`s psychoanalysis to materialism, literary and philosophical discourses to the social and historical. And in this context, they confered the title of representative of the french feminism on ≪Psych et Po≫ and the trio, Julia Kristeva, Helene Cixous and Luce Irigaray, who in that time in France, were not even considered as feminist. When we consider that they knew already the conflict between french feminists and that a certain regularity was revealed in their way to deform the french feminism, this situation must be considered as a result produced by their intention to remake the french feminism according their own need. If it was, why did they invent the french feminism? We can answer this question according to three factors. First, the hegemony of literature who took the lead in american women`s studies, second, the imperialism of american feminists who wanted to appropriate a part of french culture for their purpose, and, finally, their desire to escape criticism on their choice for a return to essentialism by using the french feminism. And today, through this process, the diversity of discourses developed by french feminist happens to hardly be noticed in the international intellectual socie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