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22.244
18.222.22.244
close menu
KCI 등재
대중 예술의 가치 옹호
Special Topic : Mass Culture and Aesthetics ; A Defense of the Positive Value of Mass Art
오종환 ( Chong Hwan Oh )
인문논총 73권 1호 11-43(33pages)
UCI I410-ECN-0102-2016-000-000778393

우리는 “대중 예술”(mass art)이라는 말을 쓰면서, 대중 예술이 전통적인 고급 예술과 대비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즉 우리는 대중 예술을 고급(high) 예술과 대비되는 저급한 또는 낮은 가치를 갖는(low)예술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대중 예술은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것이기에 통속 예술(popular art)이라고 생각되기도 한다. 이러한 우리의 암묵적인 생각 속에서 대중 예술은 통속적이라서 낮은 가치를 가지는 것이기에, 어떤 이들은 전통적인 관점에서 대중 예술은 아예 예술이 아니거나 예술이라도 저급한 예술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대중 매체 시대에 있어 대중 예술작품의 가치에 대해 적극적인 옹호를 펼치는 코헨(Ted Cohen)의 다원적 위계주의(pluralistic hierarchicalism)를 논의할 것이다. 코헨은 고급/저급 예술의 일상적인 구분을 인정하면서도, 친밀한 공동체를 구성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는 예술은 감상자들의 서로 다른 다양한 요구들을 만족시키기에 그 가치가 있으며, 그러한 가치에는 미적으로 고급/저급의 구별이 없다고 주장한다. 농담의 경우에 단순한 농담과 깊이 있는 농담의 차이를 인정할 수 있으나, 그 농담의 적절한 감상자에게는 모두 웃긴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으며, 그러한 한에 있어서는 그 가치는 모두 동일하다. 그리고 이와 동일한 생각이 예술작품의 가치에 관해서도 성립할 수 있다. 이러한 생각은 가치에 대한 평등주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그 자신처럼 두 종류의 예술을 모두 즐기는 입장에서는 두 종류의 예술작품들이 각각 단계가 다를 뿐 다른 감상자그룹의 다른 미적 요구를 만족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가치를 지닌다. 현대를 살아가는 개인들의 다원적 가치를 중시하는 코헨의 이러한 입장은 대중 예술의 가치를 옹호할 수 있는 하나의 유력한 수단이기에, 대중 예술에 대한 앞으로의 논의에서 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When we use the term “mass art,” we use it against the notion of traditional pure art, in the sense that mass art is low art, while pure art is high art. We also use the term “popular art” instead of “low art” to avoid its pejorative sense. Since mass (or popular) art is usually thought to have a lower value, some assert that it is not art at all or, if it is art, it is low art.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Ted Cohen’s pluralistic hierarchicalism to defend the positive value of mass art. Cohen argue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of high art and that of low art, since each art satisfies the different aesthetic needs of different audiences. According to him, art is important to us because it is a focus for a mutuality that locates a community. Works of art are foci for intimate communities. The totalities of such communities to which one belongs determine what kind of aesthetic sensibility one has. As long as works of art fulfill their roles in forming aesthetic communities, the grades of their values do not really matter. In the case of jokes, it does not really matter whether the joke has slight or deep content, as long as its adequate audience feels that it is funny. We can argue that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of art. Cohen thinks that we must accept the egalitarian position of value, since that is the best way to explain why we sometimes enjoy both high and low art, and why sometimes a work of art can attract both high and low audiences. And this egalitarian position for pluralistic values fits more neatly into the contemporary attention to individualistic aesthetic sensibilities.

1· 대중 예술의 분류와 평가의 구분
2· 고급/저급 예술의 구분
3· 다원주의적 위계를 가지는 예술의 가치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