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81.240
18.117.81.240
close menu
KCI 등재
교수요목기의 민족문화 형성과 발전 -국정중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National Culture Formation & Development during the Course of Study -With focus on (literary) works included in the State-designated Secondary Korean Textbook-
최창헌 ( Chang Heon Choi )
한민족문화연구 53권 31-60(30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775345

본 논문은 교수요목기의 국정중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논설문과 설명문, 기행문 중심의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초기 국어 교육에서의 민족문화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 내용이다. 일제로부터 해방된 우리나라는 신생독립국으로서 읽고 쓰기 위주의 문식성 교육을 통한 국민 만들기가 강조되었다. 새로운 나라 만들기에서의 국어교육은 ‘언어-문화-민족’의 관계망 속에서 국민을 재생산하여 국가에 편입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일제강점기에 상실된 우리말 회복과 보급이 우선시되었다. 일제 잔재의 지식과 문화를 폐기시키고, 동시에 우리의 민족문화 중심의 정체성 확보는 시대가 요구한 사명이었다. 어수선하고 결과가 정해지지 않은 사회적 변화 과정에서, 어떤 저작의 의미와 중요성은 당대의 특정한 담론적 틀 안에서 이해되고 해석된다. 새로운 체험과 견문, 감상 등을 기록한 기행문은 학습자에게 현시적 교수에 의한 우리의 문화유산을 관찰하게 함으로써, 민족문화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방편으로 국어교과서에 수록되었다. 지식인들의 눈을 통해 관찰된 문화유산의 기록은 일본 제국주의 문화의 폐기뿐만 아니라, 미군정 시기에 도입된 외래 사상과 문물의 주체적인 수용과 민족문화전통의 계승이라는 한국적인 사상과 문화를 표상하는 것이다.

This study is the paper which elucidated the real picture of the national culture formation & development in early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the basis of empirical materials of logical writing for persuasion, descriptive writing, and travel essay included in the state-designated secondary Korean language textbook during the course of study. In Korea, which was liberated from the Japanese Empire, a nation-building was emphasized through literacy education with focus on reading and writing as a newly-independent countr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aking a new nation served to transfer people to the nation by reproducing people in the network of ‘Language-Culture-Nation.’ In such circumstance of the time, restoration and supply of our language, which was lost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was a top priority. Inspiring the language nationalism into the people for securing legitimacy by scrapping the knowledge & culture embedded in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forming national cultures at the same time were the very mission demanded by the times for securing our identity. In the process of muddled, undetermined social changes,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 certain writing are understood and interpreted in a specific discourse framework of the day. A travel essay recording a new experience, knowledge, impressions while traveling was includ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s a means of inspiring the national cultural consciousness into learners by getting them to observe our cultural heritage through explicit instruction. Our cultural heritage observed through the eyes of intellectuals was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ideas and cultures via disuse of Japanese imperialistic culture, independent acceptance of foreign ideas and material culture introduced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and succession to traditions of national culture.

1. 서론
2. 국정중등 국어교과서의 발간 현과수록 작품에 나타난 특징
3. 민족문화의 창조와 진로
4. 민족문화 의식의 고취와 현시적 교수(現示的敎授)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