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199.88
3.128.199.88
close menu
KCI 등재
유아교사의 음악개념 이해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kindergarten teacher`s level of understanding on musical concept
박주연* ( Ju Yoen Park ) , 이민정 ( Min Jung Lee )
유아교육연구 36권 1호 111-131(21pages)
UCI I410-ECN-0102-2016-370-00077155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개념에 대한 이해수준을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이해를 도모하고, 음악개념을 적용한 다양한 교수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P지역과 K지역 유치원 교사 160명이며, 2015년 4월 둘째 주부터 5월 넷째주까지 6주간 유아교사의 음악개념에 대한 이해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이홍수(1992)가 제시한 음악개념 기본요소를 토대로 리듬 14문항, 가락 12문항, 화음 5문항, 빠르기 5문항, 셈여림 4문항, 형식 4문항, 음색과 음질 4문항등 7개 영역 총 48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Likert식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제작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F검증, 상관관계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의 음악개념 이해에 관한 하 위요인(리듬, 가락, 화음, 빠르기, 셈여림, 형식, 음색과 음질)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개념 이해수준의 차이에서는 유아교사의 연령, 최종학력, 경력, 음악관련 취미생활, 음악활동 영역 중 악기연주, 신체표현, 음악창작 실시횟수와 음악개념의 가락, 화음, 형식, 음색/음질 등에서 유의미한 차 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kindergarten teacher on music concept. It also aimed to provide a basis of developing various teaching method for music concept. Subject for this study were 160 kindergarten teachers in P and K area. The period of survey was six week through the second week of April through the fourth week of May. Questionnaire included a total of 48 items such as 14 of rhythm, 12 of melody, five of harmony, five of tempo, four of dynamics, and four of tone and tone quality with a five Likert measurement based on music concepts by Lee(1992).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19.0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F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Brief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sub-areas of music concept. Seco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indicat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eacher’s age, degree, teaching experience, music related personal activity, music activity areas such as music instrument play, movement expression, music creation, and frequency of music activity and music concept of melody, harmony, form, and tone/tone quality.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