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150.59
13.58.150.59
close menu
KCI 등재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효과연구에 관한 메타분석 -유아의 과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Scientific Ability-
정정희 ( Chung Hee Chung ) , 윤미승 ( Mi Seung Yun )
유아교육연구 36권 1호 403-427(25pages)
UCI I410-ECN-0102-2016-370-000771684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단일연구를 종합분석 하여 전체효과를 확인하고 효과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을 검토하여 총체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조절변인(연령, 집단유형, 활동기간, 활동횟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2000∼2014년까지 출간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물 68편이 선정되었으며 메타분석을 위해 EXCEL과 CM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분석 대상 68편의 연구물에서 과학적 탐구능력 56개의 효과크기, 과학적 태도 45개의 효과크기로 총 101개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첫째,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1.43으로 Cohen의 효과크기 기준으로 볼 때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적 해석을 하면 U3 91.0로 정규분포 곡선에서 통제집단의 평균백분위를 50.0으로 했을 때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과학적 능력이 41.0‰ 만큼 더 향상된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으로 집단 연령, 활동기간, 활동횟수, 집단 구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로 이해할 수 있으며, 큰 효과크기는 현재 국내에서 연구되고 개발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과학적 능력 향상을 위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프로그램임을 입증하는 것으로 교사로 하여금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기와 단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s, which were geared toward improving the scientific ability of young children To meet the above purpose, two study purpose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How large is the effect size of the early childhood science programs which affect young children’s scientific ability? 2. Is the effect size of the early childhood science programs which affect young children’s scientific ability different depending on program’s instructional approaches and according to moderator variables such as children’s age, type of group in experiment, the period of experimental treatment, the number of experimental treatment and year of publication? To find the answers to these inquiries, two meta-analytical techniques were conducted; 1)multiple outcome analysis; 2) subgroup analysis. The relevant domestic studies that were conducted between 2000 and 2014 were analyzed and the subjects of meta-analysis for this study were 101 sample of effect size from 68 papers.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improving scientific literacy was 1.43, which indicated that they produced huge effects. The result showed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s carried out aiming at enhancing scientific ability had effect siz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literacy. Secon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of the influence of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ability, the regulation effect about children’s age, type of group in experiment, the period of experiment treatment and the number of experimental treatment were explored.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children’s age and the type of group in experimental treatment proved to be the moderator variables which explain the difference of effect size of the influence of the early childhood science program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ability. To sum up, it can be seen that various science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hose goal is to enhance scientific ability have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ability.

Ⅰ. 서 론
Ⅱ.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