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221.67
3.15.221.67
close menu
KCI 후보
문학 교육과정 성취기준 중 "보편성과 특수성" 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among Literatur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조혜숙 ( Hye Sook Jo )
한국어문교육 19권 71-96(26pages)
UCI I410-ECN-0102-2016-700-000712410

연구자는 2015년 고등학교 2학년 문학 수업에서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과 관련하여 학습 내용의 오류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한국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은 4차 교육과정 이후 지금까지 고등학교 문학 교육과정에서 학습 내용으로 선정되어 왔다. 이 개념은 민족 문학적 관점이 강하게 반영되어 선정된 것으로, 이는 식민지를 겪은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문학의 자생적 근대화를 설명하고자 하는 연구 결과의 반영으로 교육 과정에 선정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문제는 이 개념이 몇 가지 문제가 있음에도 비판적 검토 없이 학습 내용으로 선정되어 왔다는 것이다. 이 개념이 교과서에 구현되며 나타난 문제는 정확하지 않은 개념 설명, 학습 문제의 무리한 구성, ‘특수성’을 설명하기 위해 작품을 적절하지 않게 해설하는 문제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한국 문학의 특수성은 한국 문학의 역사를 학습하면서 포괄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그리고 문학을 교육적 효용 측면에서 접근하여 문학 교육의 학습 내용과 제재를 선정할 때는 특수성이 아닌 보편성에 대해 진지하게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문학이 개인의 내면에서 보편성으로, 보편성에서 다시 개인의 내면으로 오고가는 체험의 제공이라는 점에서 그간 간과되어온 보편성에 대한 이해는 문학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Researcher have found an error the learning content with respect to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Korea Literature’ in a high school sophomore literature class and became consciousness about this problem.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Korea Literature`` has been chosen as learning content in high school literature curriculum since the fourth curriculum and until now. This concept can be inferred to have been selected as the national cultural perspective has been strongly reflected in selection. It reflects the research to describe the spontaneous modernization of Korean literature because of the historical colonial experience. The problem is that this concept came the selection of learning content without critical review despite of some problems. : inaccurate concept description in textbook, the configuration of the forced learning problems, and inadequate explanation of works to describe the "particularity". Specificities of the Korea Literature are appropriate to be learned while learning the history of Korea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in terms of access in educational effectiveness will need to seriously consider the universality rather than specificity when selecting the learning content and achievement standard in the literature curriculum.

1. 주제 선정의 이유 및 연구 목적
2. 교육과정에서의 ‘보편성과 특수성’
3. 교과서에 구현된 ‘보편성과 특수성’ 개념
4. ‘보편성과 특수성’의 이해에 대한 제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