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47.253
3.145.47.253
close menu
KCI 후보
제주신화의 문화콘텐츠 활용 가능성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Myths of Jeju as Cultural Content
강문종 ( Moon Jong Kang )
영주어문 32권 55-75(21pages)
UCI I410-ECN-0102-2016-710-000696917

문화콘텐츠로서의 제주신화는 제주도민에 의해서 대대로 전승된 문화유산임과 동시에 제주민의 삶의 양식과 사회적 가치가 체화된 신들의 이야기다.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몇 가지 기반이 조성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신당의 원형을 복원하고 굿의 원형에 기반 한 퍼포먼스(performance)를 문화상품의 하나로 만들어 신화의 내용을 향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제주신화를 둘러싼 인물들의 네트워크와 사회·경제적인 분야, 민속·의례적인 분야, 제주지역의 역사와의 충돌 및 연합 분야, 역사적 기록물, 현대인들의 이해관계 및 향유방식, 제주도의 관광 인프라 등이 종합적으로 어우러진 일종의 지식망(Knowledge Network)을 구축하는 스토리텔링 기법을 도입하여 신화의 대중화가 필요하며 셋째, 신들의 계보를 정리하고 각 계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구성한다면 제주신화에 대한 이해도 및 인지도가 크게 올라갈 것이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 조례의 제정 등의 노력을 통하여 원형을 보전하고 문화유산 임을 규정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

The myths of Jeju as cultural content are the cultural heritage that has been passed down by the residents of the island. They are the stories of gods and goddesses with the lifestyle and social values of Jeju people embodied in them. There should be a couple of foundations established to make use of them as follows: First, they need to restore the archetype of shrines and develop a performance based on the archetype of Gut as a cultural product to offer the public easy access to Gut. Secondly, it is needed to popularize the myths through a storytelling technique of building a knowledge network, which encompasses the network of figures in the myths of Jeju, the social and economic areas, the folklores and rituals, historical records, modern people`s interests and modes of enjoying, and tourism infrastructure of Jeju Island. Finally,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level of Jeju myths can be raised considerably by sorting out the pedigree of gods and goddesses and organizing various contents around the central axis of each line. It is especially urgent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base to preserve the archetypes and regulate them as cultural heritage through such efforts as the enactment of ordinances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1. 서론
2. 문화콘텐츠로서의 제주신화
3.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정책적 제안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