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09.30
3.133.109.30
close menu
KCI 후보
대우법 변천과 삼강오륜
The Change of Honorific System and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신성철 ( Seong Cheol Shin )
영주어문 32권 97-123(27pages)
UCI I410-ECN-0102-2016-710-000696937

이 글은 대우법 체계가 변화된 근본 원인 중의 하나로, 고려 말, 조선 초부터 한국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유교 문화, 특히 삼강오륜이라는 실천 윤리에 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고려 말기에 들어온 성리학은 조선의 개국과 함께 더욱 국가이념 또는 사회정치적 이데올로기로 전환되는데, 특히 삼강오륜이 강화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대우법 체계는 고려 시대까지 유무 대립에 의한 이원적 체계를 유지했으나, 조선이 개국한 15세기 국어에서는 삼원적 대립이 새롭게 나타나기 시작한다. 삼원적 대립은 특히, 분화된 초기의 몇몇 용례와 특이한 형태의 용례에서 확인되는데, 『내훈』(1475)에 사용된 ``ㅁ야쎠``체는 아주높임의 ``ㅁ쇼셔``체와 안높임의 ``ㅁ라``체 사이에 개재된 용법을 보여 준다. 남편이 아내에게 ``ㅁ야쎠``체를 사용하며, 아내는 남편에서 ``ㅁ쇼셔``체를 사용하고 있어, 그 위계가 명확히 구분되었다. 이외에도 『내훈』(1475)에서만 나타나는 ``좌ㅁ-``는 ``좌시-``보다 더 높임을 나타낸 언어 형태이다. 사원적 대립이 나타나기 시작한 17세기에는 ``먹다``류 어휘적 대우어인 ``잡ㅁ-``이 『동국신속삼강행실도』(1617)에 나타나는데, ``자시-``나 ``자-``보다 더 높은 아주 높임에 해당하며 간행본 중 가장 이른 용례이다. 이들 문헌은 모두 유교 관련 도서이며, 특히 삼강오륜과 밀접히 관련된다. 삼강오륜의 강화로 인한 복잡화된 상하 판단의 요인을 언어 형태로도 표현하려는 인식이 반영된 것이 ``ㅁ야쎠``체나 ``좌ㅁ-``, ``잡ㅁ-`` 등이며, 유무 대립에 의한 이원적 체계에 새로운 삼원적 또는 사원적 체계로 바꾸는 근본 원인의 하나가 된다.

This paper discussed Confucian culture,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Korean society from late Goryeo to early Joseon periods, as one of fundamental causes of change in honorific system, especially with the focus on practical ethics of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Neo-Confucianism introduced during late Goryeo period further shifted into a national or socio-political ideology with the foundation of Joseon.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ps were especially reinforced. Honorific system at the time maintained a binary system of privative opposition until Goryeo period, but ternary opposition newly appeared in Korean language of the 15th century with the start of Joseon Dynasty. Ternary opposition is particularly found in several early examples and examples of distinctive types. ``ㅁ쇼셔`` style used in 『Naehun』(1475) is interposed between highest ``ㅁ쇼셔`` style and informal ``ㅁ라`` style. The hierarchy was clearly distinguished as the husband used ``ㅁ쇼셔`` style to his wife and the wife used ``ㅁ쇼셔`` to her husband. In addition, ``좌ㅁ-`` that only appears in 『Naehun』(1475) is a language form that represents higher formality than ``좌시-``. In the 17th century when quaternary opposition began to appear, ``잡ㅁ-`` appears in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1617) as a lexical formality of ``Meokda(to eat)``. It has higher formality than ``자시-`` and ``자-`` and corresponds to highest grade of formality, and it is the earliest example among books. All of these references are books related to Confucianism with particularly close relation to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ㅁ쇼셔``, ``좌ㅁ-`` and ``잡ㅁ-`` are styles that reflected the awareness to express complex hierarchy caused by reinforcement of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using language forms. This was one of fundamental causes for the shift from binary system of privative opposition to ternary or quaternary system.

1. 서론
2. 연구사 및 연구 방법
3. 새로운 언어 형태의 출현
4. 대우법과 삼강오륜
5. 마무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