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59.231
18.224.59.231
close menu
KCI 등재
論漢韓空間維度詞 "高" 和 "높다" 的跨域認知
A Study on the Cross-domain cognition of Spatial Dimension Word "高" in Chinese and "높다" in Korean
한송도 ( Song Tao Han ) , 성윤숙 ( Yoon Suk Seong )
어문론총 66권 39-57(19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696985

이 연구는 신문 사설의 이주민 담론을 논증적 관점에서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 사회의 이주민은 주로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민으로 이루어지지만 이 글은 이주노동자에 초점을 두었다. 신문 사설은 주장과 논거로 이루어지는 논증구조를 지니며 그 이면에 특정한 가치나 이데올로기를 함축하고 있다. 따라서 주장, 논거, 가치, 상황 등 주요한 의미 요소들을 통해 이주노동자의 담론이 담고 있는 경향을 이해하며 논리적으로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주노동자의 담론은 첫째, 상황으로서는 노동권과 인권이 유린된 현실을 충격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주장에서는 이와 같은 권리를 보호해야 함을 구체적 행위에서 포괄적인 주장까지 폭넓게 제시하고 있다. 셋째, 타산적 논거보다는 사람은 공간 범주에 있어 사물의 크기, 길이, 높이, 면적과 체적 등을 인지할수 있다. 이와 같은 인지는 공간 차원에서 1차원, 2차원과 3차원으로 구분될 수있다. 공간에 대한 인지는 사람의 기본적 인지 중의 하나이다. 사람은 공간에 대한 인지 결과를 언어로 표현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방대한 공간감각어 체계를구성하게 되었다. 중국어 ``高``와 한국어 ``높다``는 각각 1차원 공간에서 사물의 높이에 대해 인지한 언어표현이다. 두 단어의 의미 구조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수 있다. 두 단어는 각각 공간적 개념의 근원 영역에서 출발하여 은유를 통하여 다른 목표 영역으로 투사됨으로써 여러 확장 의미를 나타내게 되기 때문에 다의구조를 구성하게 되었다. 두 단어는 의미 투사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드러내게 되는데 시간, 소리, 감정, 수량 등과 같이 서로 같은 목표 영역도 나타난다. 그러나 두 단어가 투사하는 목표 영역은 비슷하지만 투사한 후 나타내는의미가 완전히 대응되는 것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대조언어학과 인지언어학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중국어 ``高``와 한국어 ``높다``가 의미를 투사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차이를 분석하고 각각의 교차영역 인지적 특징에 대해 논의하도록한다.

In the spatial category, we perceive an object via its size, length, height, area and volume. They fall in to the category of one dimension, two dimensions and three dimensions. The spatial perception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perceptions of human beings. We express our perceptions towards space through words, thus forming a relatively large system of spatial dimension words. "高" in Chinese and "높다" in Korean are linguistic performance in two languages to the perception of height in one dimension. However, we find that in the meaning construction, "高" and "높다" project from the respective source conceptual domain to other target domains. Through cognitive approach of metaphor, the two words generate many extended meanings and construct their polysemy structures respectively. Though distinctive features as shown in the respective cross-domain cognitions, many same target domains appear, such as time, sound, emotion and quantity. At the same time, we also find that though both project the same target domain, the semantic meaning after projection is not always equivalent. Based on Contras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theories, the paper aims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both words in the course of projection and discuss their cross-domain cognitive characteristics.

1. 序論
2. 漢語“高”和韓語“높다”的始源域表義
3. 漢語“高”和韓語“높다”的跨域投射
4. 結論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