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62.247
3.17.162.247
close menu
KCI 등재
지역 고전문학에서의 자연과 일상생활의 풍경
Nature and The Landscape of Everyday Life in the Local Korean Classical Literature
이강옥 ( Kang Ok Lee )
어문론총 66권 97-127(31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697008

지역 고전문학의 풍경을 살필 때 일상과 자연, 이념이 풍경을 통하여 관철되는 양상을 해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풍경은 사건이나 지식, 서정을 표상하기 위한 수단이나 배경이 아니라 그 자체의 형상이 부각되는 경우를 지칭한다. 풍경은 일상을 지향하기도 하고 자연 자체를 지향하기도 한다. ``일상의 풍경`` 은 때로는 형용 모순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일상은 풍경이 성립하는 필수적 조건인 ``거리``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상의 풍경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풍경과그것을 바라보는 주체 사이의 거리가 최소한이라도 유지되어야 한다. 자연 공간에 대한 ``내부적 관점``을 취하는 민요에서는 주체와 대상 사이의 거리를 부정하는 일상의 경향과 최소한의 거리를 설정하고자하는 문학의 경향이 길항작용을한다. 그 결과 주체의 의식과 공간의 객관적 형상이 뒤섞이는 현상을 초래했다. 반면 ``자연의 풍경``은 바라보기의 주체와 객관적 공간 사이의 거리가 분명히설정된다. 이 거리를 전제로 하여 풍경에 대한 묘사가 탁월하게 이루어졌다. 사대부의 일상은 풍경에 대한 거리가 순조롭게 설정되게 하기에 사대부의 일상을묘사하는 것이 자연 풍경 자체를 묘사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게 되었다. 사대부의 공간 경험을 다루는 기문(記文)이 오늘날 사라진 풍경을 현실 공간에 재현하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이다. 또 사대부들은 구곡문화의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자연 공간에 이념성을 깃들임으로써 자연 풍경 자체를충실하게 재현할 수 있었다. 이렇게 재현된 풍경은 이념성을 의식한 사대부에게는 이념적 풍경이 되지만, 그 이념에서 자유로운 사람들에게는 풍경 자체로 향유될 수 있다. 일상과 이념은 다소 다른 방식으로 풍경에 깃들여진다. 이념은 풍경을 바라보는 사람에 의해 시각적으로 포착될 수가 없다. 그래서 보는 사람의 입장에 따라다르게 이해된다. 반면 일상은 풍경 자체를 구성하는 요소가 된다. 일상이 깃든풍경은 그것을 보는 관점과 관계 없이 ``일상적 풍경``이지 ``자연의 풍경``이 될 수는 없다. 그래서 일상적 풍경은 일상을 벗어나고자 하는 사람을 만족시킬 수 없다. 이상향 추구 야담에서 ``세속 → 이상향 → 일상적 풍경 → 순수한 자연 풍경``으로 나아간 까닭이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사람이 어떤 풍경을 목도하고 지속적으로 떠올리는 것은 한 평생을 다한 뒤죽음의 길을 가는 데까지 영향을 끼친다. 사람이 살아있을 때 일상적으로 어떤풍경에 노출되고 어떤 풍경을 지향하는가 하는 것은 죽음의 길과 저승의 풍경에까지 영향을 끼친다. 문학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풍경을 찾아내고 풍경을경험하고 풍경을 떠올리는 의의는 여기에도 있다고 하겠다. 풍경을 통해 일상을 지향하는가, 풍경을 통해 일상을 벗어나려하는가, 풍경자체에서 이념적 비약을 이루는가. 이것이 고전문학에 나타난 풍경의 변주이다. 이 변주의 양상을 더 정교하게 역사적으로 살피는 것은 앞으로의 중요한 과제라할 것이다.

In analyzing local classical literature, it is imperative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everyday life, nature, and ideology are incorporated into landscape. Landscape points to either everyday life or nature itself. "Landscape of everyday life" seems oxymoron, for everyday life does not allow necessary ``distance`` that is prerequisite for creating landscape. In folk songs which take insider`s perspective on the space of nature, there is a contention between tendency of everyday life which denies the distance between subject and object, and that of literature which tries to keep the minimal distance between them. The result causes intermingle of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objective form of space. On the other hand, in ``landscape of nature`` there is a clear demarcation between object of gaze and objective space. Outstanding description of landscape is possible based on this distance. Since everyday life of Sadaebumakes it possible to keep a proper distance from landscape,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portrayal of Sadaebu`s everyday life and that of landscape of nature. Sadaebu was able to represent nature`s landscape faithfully by imbuing ideology into landscape of nature. This landscape becomes ideological landscape to Sadaebu who are conscious of ideology, while people free from ideology can enjoy nature at it is. Both everyday life and ideology are incorporated into landscape in a little different ways. People can not capture ideology by just looking at landscape. Interpretation of landscape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ir positions. On the other hand, landscape incorporating everyday life is not ``landscape of nature`` but ``that of everyday life`` regardless of onlookers` perspectives, for everyday life constitutes landscape. Everyday landscape can not satisfy people whoseek to escape from their everyday lives. Narrative of Utopia-seeking-Yadam proceeds from mundane world, Utopia, everyday life to landscape of pure nature for this reason. The kind of landscape people have been exposed to and aiming at daily during their life time affects landscape they will encounter on their journey to death and afterlife. Aiming at everyday life through landscape; escaping from it through landscape; projecting ideology into landscape itself. There are some of the variations of landscape found in the classical literature. More detailed analyses of these variations in the specific historical contexts would be thenext significant tasks for future research.

1. 머리말
2. 국문 시가에서의 자연과 일상생활의 풍경
3. 한문학 작품에서의 자연과 일상생활의 풍경
4. 길을 매개로 펼쳐지는 풍경의 서사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