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252.23
18.188.252.23
close menu
KCI 등재
< 하서도통가(河西道統歌) >의 서술 양상과 창작배경
Description aspects and creation background of < Haseo-dotongga >
조유영 ( Yu Young Jo )
어문론총 66권 153-171(19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697028

본고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크게 주목 받지 못했던 조선 후기 사대부 가사인 < 하서도통가 >의 서술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의 창작 배경을 고찰해 보고자 기획되었다. < 하서도통가 >는 서사-본사-결사로 이루어진 가사 작품으로 여타의 도통가계가사와는 달리 도통의 계보를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김인후의 학덕과 절의를 생애사의 구체적 사건을 통해 서술하고있는 것, 다양한 선현들의 인물평을 인용하여 김인후의 학덕과 절의를 돋보이게한 것, 문묘 종사의 과정과 문묘 종사를 허락한 정조에 대한 찬양을 서술하고있는 것은 하서도통의 정당성을 합리화하기 위한 작자의 의도에 의한 것이다. < 하서도통가 >에서 나타난 이러한 서술 양상은 김방휘 사건에 의해 흔들리고 있던 하서학맥의 위기의식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김방휘 사건은 당대에 큰 사회적 파장을불러왔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하서가문과 하서학맥을 추종했던 호남 사림들이있었다. 김방휘 사건은 하서가문과 하서 김인후를 추종하는 호남 사림들에게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켰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반론과 사건의 축소라는 과제가그들에게 주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이 < 하서도통가 >를 창작하게 된 배경이라 할 수 있다. 조선 전기의 문묘종사가 절의와 도학적 명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조선 후기의 상황은 정치 세력의 영향력이 더욱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정조의정치적 후원에 의해 김인후의 문묘종사가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정조 사후 더욱경직되어 가는 사회 분위기에서 그 영향력을 확장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김인후의 후손 김방휘는 하서문집 간행에 종사하면서 당대 지배층인 서인 노론 계열에 도전하였지만 결국 패배로 귀결되었다. < 하서도통가 > 는 이러한 조선 후기 사회사적 맥락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또한 정치권력에의해 교조화되고, 독점화된 도통 담론이 겉으로는 도학적 순수성을 지향하는 것처럼 포장되었지만, 조선 후기 정치·사회사적 변화 속에서 더욱 권력 지향적인모습으로 변모해 갔음을 < 하서도통가 >를 통해 우리는 읽어 낼 수 있다.

< Haseo-dotongga > hasn`t received attention ``gasa`` of ``Dotongga`` system in late Joseon dynasty for the Korean literature circles. This paper will study description aspects of < Haseo-dotongga > and consider purpose for writing of < Haseo-dotongga >. It provide understanding of presence aspec of gentry gasa in late Josion dynasty. < Haseo-dotongga > consist of prologue-body-epilogue. Its description aspects is very unique by describe concretely. The description aspects reflect awareness of crisis of haseo-dotong by KIM Bangwhi affair. And created for justify and establish haseo-dotong`s legitimacy. The KIM Bangwhi affair take serious damage KIM inhoo`s academic legacy and haseo academic line. So set forth a counterargument and reduction of problem are the purpose of the creation background of < Haseo-dotongga > Social Implication of < Haseo-dotongga > and dotong are including one aspect of social history of politics of late Josion dynasty

1. 서론
2. <하서도통가>의 서술 양상과 도통의 재정립
3. <하서도통가>의 창작 배경
4. <하서도통가>에 나타난 도통의 사회사적 함의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