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67.251
18.222.67.251
close menu
KCI 등재
2015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국어과 교육과정 발전의 논제 ―영역과 내용 체계
Agendas for "Korean" Curriculum Revision ―Domain and Contents System
김창원 ( Changwon Kim )
UCI I410-ECN-0102-2016-710-000690546

교과 교육과정은 항존성과 가변성의 길항 관계 위에서 총론의 지침과 교과의 요구를 반영하여 개정된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도 국어교육의 전통과 교육과정 총론이 정한 원칙 위에 여러 영역이 이론을 주고받으며 개정되었다. 본고는 1∼10학년 공통 < 국어 > 과목을 대상으로 하여 국어과의 영역과 내용 체계가 어떤 맥락에서 개정되었고, 어떤 방향으로 개선해야 할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국어과의 영역은 듣기·말하기·읽기·쓰기를 기초로 하여 언어(국어 지식/문법)와 문학 영역이 부가되는 형태로 진화해 왔다. 본고에서는 여기에 매체를 더하여 기초 영역(발화·문식·어휘·어법), 수행 영역(듣기·말하기·읽기·쓰기·매체), 문화 영역(언어·독서·문학)을 설정하는 복층 체제를 제안하였다. 이는 1차 교육과정과 유사하지만 더 발전한 형태다. 국어과의 내용 체계는 ``기능-지식-태도``라는 과목 목표를 바탕으로 하여 영역을 공시축으로, 학년별 발달 양상을 통시축으로 삼아 국어 경험을 조직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발달 양상에 따라 영역 간 비중을 조정하고 그에 걸맞은 경험을 제공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영역 전문가뿐 아니라 교육계 내·외부의 전문가가 협력하여 ``국어``라는 교과에 대한 개인적, 국가·사회적 요구를 분석하고 학교 교육의 틀 안에서 국어과의 위상과 성격을 정위해야 한다.

This paper discusses how grade 1∼10 commo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domain and contents system have revised under what context and to what direction. It begins from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paper suggests to categorize Korean education`s domain into three fields: basic field (including oracy, literacy, vocabulary, grammar), performance field (including listening and speaking, reading, writing, medium), and culture field (including language, text reading, literature). This categorization is to hierarchically organize domains as contents of Korean education, similar to the 1st national curriculum. Also, this paper suggests systemizing curriculum contents to organize language experience with domain as a synchronic axis and grade development as a diachronic axis, based on subject`s goal of ``skill-knowledge-character``. What important is adjusting portions of each domain and offering suitable Korean language experience for each specific student based his/her development. For that, investigation on personal, social and educational demand on Korean language is required.

Ⅰ. 문제 공유 : 교육과정사 안에서의 2015 교육과정
Ⅱ. 교육과정의 진화론적 선택, 그리고 요구 ― 영역, 내용 체계
Ⅲ. 교육과정 체계화의 방향 모색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