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25.219
18.223.125.219
close menu
KCI 등재
문맥 인식과 표상 방식에 대한 사례 연구 ―단락 중심의 읽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Co-text Cognition and Representation Types ―Focusing on Reading and Writing Paragraphs
서종훈 ( Jonghoon Suh )
UCI I410-ECN-0102-2016-710-000690617

본고는 국어교육 현장에서 중요시되어 왔지만 정작 제대로 다루지 못한 문맥을 현장조사연구의 틀에서 논의하였다. 두 가지 연구가설을 상정하고, 이에 부합하는 조사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여 문맥의 구체적 실체를 파악하고 교육적 가능성을 타진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첫 번째 연구가설은 읽기 과정에서 문맥을 형성하는 데 초점이 되는 단락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조사 결과상으로 학습자들 간에 공통적으로 합의된 초점 단락이 산출되었고, 이는 문맥을 도식화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두 번째 연구가설은 문맥 형성과 관련된 필자와 독자 간의 소통 문제였다. 학습자 필자의 글을 대상으로 문맥을 도식화했는데, 갈래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기는 했지만, 전반적으로 필자와 독자 간에 공통된 문맥의 도식화가 조사 결과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문맥의 교육적 실효성에 대한 중요한 기초가 된다. 하지만 본고는 문맥에 대한 시론적 논의임을 감안하여, 향후 보다 정밀하고 체계화된 문맥 도식화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을 남겼다. 두 가지 정보관계의 도식화 이외에도 다양한 의미관계의 수립과 문맥에의 수용이 요구된다. 아울러 문맥의 구체적 실체를 밝혀내는 데 보다 다양한 갈래의 텍스트와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들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를 남긴다.

Co-text is different from context. It is a internal aspect of text. But context is a external aspect of text. Generally co-text is called as a text-flow. It is very abstract concept. It has been ambiguously treated with at scene of school. Co-text may be kind of rhythm in text. Especially it distributes the whole range of text. Between the words, sentences, paragraphs, and rhetoric unit are distributed. So the range is not easily decided. The problems cause the understanding difficulties of text. This paper is focused to concrete abstract co-text. Two methods are used in actualization. First, cognition and representation in linear relation of text are treated by Centering theory. Centering theory is about the cohesion. Especially it is about how pronoun is restored between sentences. Also the representation is exposed by the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Second, tree-diagram is used to exposed hierarchial relation between paragraphs. This method actualizes cognition and representation in hierarchial relation of text. So the co-text is represented by horizontal and vertical relation.

Ⅰ. 들머리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연구가설
Ⅳ. 연구결과 및 교육적 의의
Ⅴ. 마무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