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30.162
3.141.30.162
close menu
KCI 등재
학습자 작문 교육을 위한 텍스트의 구어성 측정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 of Colloquial Features of Texts for Learner`s Writing
안의정 ( Eui Jeong Ahn )
어문론총 67권 39-65(27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692063

최근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사용역을 고려한 언어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어휘의 사용 양상은 텍스트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러한 어휘 선택이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쉬운 문제가 아니다. 즉, 작문에서 학습자들은 구어 어휘를 선택하는 오류를 흔히 범하고 있다. 학습자들의 이러한 어휘 사용 양상을 살펴서 학습자가 생산한 문어 텍스트의 구어성을 측정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안의정(2009)에서는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어 어휘의 구어성과 문어성을 측정하여 이를 어휘 목록으로 정리한 바 있다. 본고는 여기서 제시한 목록을 기반으로 하여 측정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의 구어의 여러 텍스트들을 구어성의 정도에 따라 나열해 볼 수 있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구어성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논의된 구어성의 개념을 검토하는 이유는, 다양한 구어 텍스트의 구어성 정도를 정리하여 본고에서 제시하는 구어성 점수의 타당성 검증에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타당성 검증을 위해서는 모국어 화자의 구어 텍스트를 이용하였다. 이어 3장에서는 텍스트의 구어성 측정을 위한 방법과 그 과정의 전반을 소개하였으며, 특히 구어성 측정에 직접적으로 사용할 안의정(2009)의 목록을 면밀히 검토하여 구어성 어휘의 등급을 1~4등급으로 나누어 활용하였다.

Resently the research of teaching Korean language becomes more active, the importance of teaching Korean language is being highlighted regarding the register. Use patterns of vocabulary depends on the types of text, and these selection of word is not easy to foreign students. In other words, learners often make mistake of choosing a vocabulary in writing. This study aims to measure colloquial features of texts which generated by learners by observing these patterns using the vocabulary of learners. With regard to this, Ahn(2009) made colloquial and formal features to list with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the corpus linguistics. I studied the methods of measurement based on this list, and as a result, I could list up colloquial features of existing several spoken texts.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 have summarized the concept of colloquial features in chapter 2. I have reviewed the concept of colloqual features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because I want to use colloquial features to validate ``colloquial feature score`` which I have marked on existing spoken texts. I used spoken text in their native language speakers for validation. In chapter 3 I introduced the method for the mesuriing of the colloquial features of texts and the entire process of it. In particular, the list of Ahn(2009) used directly in measuring the colloquial features was examined closely and the level of spoken language vocabulary was utilized by being divided into 1-4 grades.

1. 서론
2. 구어성의 개념
3. 구어성 측정 과정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