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04.238
18.119.104.238
close menu
KCI 등재
대학 교직과정에서 위키 활용 협력학습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on Learning Performance in a University Pre-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
이현경 ( Hyun Kyung Lee )
교육공학연구 32권 1호 201-228(28pages)
DOI 10.17232/KSET.32.1.201
UCI I410-ECN-0102-2016-370-00068643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직과정에서 위키를 활용한 협력학습이 학습성과로서 프로젝트 학습활동과 교과학습지도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협력학습을 통한 프로젝트 학습활동이 교과학습지도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 A대학교의 교직과정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위키를 활용한 협력학습 집단과 위키를 활용하지 않은 협력학습 집단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 간에 프로젝트 학습활동과 교과학습지도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위키를 활용하여 협력학습을 수행한 실험집단과 위키를 활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프로젝트 학습활동과 교과학습지도 역량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력학습을 통한 프로젝트 학습활동이 교과학습지도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프로젝트 학습활동이 교과학습지도 역량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학 교직과정에서 위키 활용 협력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긍정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In university pre-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s, it is crucial for learners to hav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be a teacher since learners can create useful knowledge and solve practical problems based on the positive interaction with other learner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social media on learning performance in a university pre-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 Students taking a foundation course of teaching profession, “Instruc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at a university in Seoul, Korea,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two groups were assigned to a professor, where the experimental group used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use a wiki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n analyz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learning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difference analysis on learning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on instructional competency, one of crucial pre-service teacher competences, were also analyzed.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by presenting empirical results from an actual university pre-service training course rather than a simple theoretical analysi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