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16.163
18.191.216.163
close menu
KCI 등재
근대, 자연, 경험: 미학사적 개관을 통한 "미적 자연" 및 "자연의 미적 경험"의 몇 가지특이성에 대한 고찰
Modern, Nature, Experience-Histor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several particularities of "aesthetic nature" as well as "aesthetic experience of nature"-
김상연 ( Sang Yeon Kim )
UCI I410-ECN-0102-2016-100-000671550

본 논문은 서양 미학사 및 자연의 문화사의 일별을 통해 ``근대적 자연미학``의 한계와 일면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이를 극복할 방안을 제안하는 데그 목적이 있다. 18세기 후반에 확립된 자연미학의 카테고리인 미, 숭고 그리고 픽쳐레스크는 객체에 대한 정적인 관조 행위를 암묵적으로 전제한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적인 미적 자연 경험이 늘 그러한 ``이상화된 미적 상황``에서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역동적인 일상의 정황들 속에서 미적 자연을 만나고 경험한다는 것을 인정할 경우, 일종의 정적인 관조가 일어나는 근대적 자연 경험의 유형들과, 나아가 이들 유형에 상응하는 근대적 미적 범주들은 뿌리에서부터 흔들리게 된다. 사소하고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던 미적 자연 경험에서의 미적 주체의 ``시각``(視角), ``공간적 위치``, 심지어 미적 경험의``시점``(時點) 등과 같은 주/객관적 계기들은 예술의 경험에서보다 질적으로훨씬 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한 계기들의 ``재조명`` 및 이를 통한 근대 자연미학의 일면성의 ``비판``은 공히 일상적 맥락에서 역동적으로 만나게되는 ``자연의 미적 다양성``을 인정하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limit, that is, the one-sidedness of ``modern aesthetics of nature`` through a short glimpse of the western history of aesthetics as well as the cultural history of nature, and then tentatively to suggest a solution to overcome such a problem. The beauty, the sublime, and the picturesque as aesthetic categories in aesthetics of nature that were finally established in the late 18th century, appear to implicitly presuppose some sort of act of static contemplation in regard to aesthetic nature. Our ordinary aesthetic experiences of nature, however, might not always take place in such an ``idealized aesthetic situation``. Were it acknowledged that in numerous cases we encounter and experience aesthetic nature in such an ordinary circumstances dynamically consisted of and combined with subjective as well as objective moments, then the types of modern aesthetic experience of nature where a kind of long-distanced quiet contemplation might take place, and, furthermore, the modern aesthetic categories, which correspond to such types, would all have to lose their own previous well-trodden base. The subjective as well as objective moments as ``point of view`` and ``spatial position`` of aesthetic subject and even ``time`` of aesthetic appreciation of nature, were all regarded and neglected as insignificant, irrelevant, and peripheral for aesthetic experience and therefore theoretically excluded from consideration so far. These moments in such aesthetic experience of nature, however, play qualitatively a more decisive role than in that of artwork. The ``review`` of such so-called secondary moments and the ``criticism`` of the one-sidedness of modern aesthetics of nature through that review, all must also jump off from some kind of generous recognition of the ``aesthetic diversity of nature`` dynamically encountered in various ordinary circumstances.

1. 고대와 중세 그리고 르네상스에 이르기까지의‘ 미적 자연’에 대한 태도의 변화
2. 근대적 자연 경험에서 ‘미’와 ‘숭고’라는 미적 범주
3. 픽쳐레스크(‘그림 같은’ 혹은 ‘그림에 적합한’)와풍경: 투사된 미적 자연
4. 픽쳐레스크 이후 ― 자연미학에서 인지주의의 등장
5. 자연에 대한 미적 경험의 특이성― 예술작품의 경험에 비추어
6.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