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31.209
3.141.31.209
close menu
KCI 등재
페미니즘에서 자연의 위치들 -에코페미니즘과 그로츠의 조우 가능성의 탐색-
The Places of Nature in Feminist Theories -An Exploration of a Possible Relating Ecofeminism with Grosz-
황주영 ( Jooyoung Hwang )
시대와 철학 27권 1호 295-323(29pages)
UCI I410-ECN-0102-2016-100-000671641

이 논문은 자연에 관한 페미니즘의 논의들 사이의 대화를 촉구한다. 대화의 필요성은 자연에 관한 페미니즘 논의 지형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드러나게 된다. 특히 에코페미니즘의 변화를 따라가면서, 페미니스트 이론에서 나타나는 자연관과 그것의 문제점을 밝힐 것이다. 섹스/젠더 논의에 초점을 맞춘 페미니즘은 자연을 고정된 소여로 보거나 담론으로 환원함으로써 자연/문화 이분법으로 되돌아간다. 에코페미니즘은 구체적인 자연 개념을 제시하지 못하거나 자연과 문화의 관계를 분명히 설명하지 못한다. 이 문제들은 자연을 생성변화와 미래를 향해 열려 있고 문화를 발생시키는 장으로 이해할 때 해결될 수 있다. 그럴 때 우리는 자연과 문화를 어느 한쪽으로 환원하지도 이원론에 의존하지도 않고서 그 둘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그러한 시도로서 그로츠의 작업을 비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녀의 존재론적 자연론과 에코페미니즘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본다.

This article call on conversations between feminist theories of nature. Its necessity will be exposed in the course of critical reconfiguration of feminist discussions on nature. Particularly, along the theoretical and conceptual changes of ecofeminisms, I would reveal that many feminist conceptions of nature has problems or deficiencies. Feminists who focus on the question of sex-gender relation regard nature as determined given, or reduce it to discourse, and consequently go back to the dualism. Meanwhile ecofeminists did not provide detailed concept of nature or sufficient explan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culture. These problems could be solved, if we understand nature as opened to creative becoming and future, and as generating the culture. Then, we can explain the nature-culture relationship without reducing one to the other or depending on the dualism. Grosz engage in this kind of work. I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I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between the ontological theory of nature in Grosz and ecofeminism.

1. 서론
2. 여성-자연 관계에 대한 양자택일의 문제설정
3. 여성과 자연의 관계: 이분법을 넘어서기
4. (에코)페미니즘에서의 ‘자연’ 개념과 담론적 접근의 한계
5. 조우의 가능성: 그로츠와 에코페미니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