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29.19
18.221.129.19
close menu
KCI 등재
피케티의 통계수치에 기초한 라스티냐크의 출세주의에 관한 한 연구
A study of Rastignac`s arrivisme, based on Piketty`s economic statistical figures
김중현 ( Joong Hyun Kim )
세계문학비교연구 54권 216-235(20pages)
UCI I410-ECN-0102-2017-800-000115790

『고리오 영감(Le pere Goriot)』의 라스티냐크(Eugene Rastignac)는 앙굴렘에서 파리에처음 올라왔을 때에는 선량함과 고결함, 그리고 순수함을 잃지 않은 21살의 법대생이었다. 자신이 방문한 파리의 화려하고 웅장한 저택에서 사치의 냄새를 맡은 그는, 그가 경험한파리의 그 사치와 자신이 처한 궁핍한 가족적 현실, 그리고 현재 살고 있는 하숙집의 비참한 광경의 비교를 통해 양심과 이성의 이완을 경험한다. 그 이완은 그에게 많은 사악한 생각들을 불러일으켰고, 마침내 그는 보트랭(Vautrin)의 사회 현실에 대한 설교에 동의하여 출세가 이 세상의 최후의 논거(reason)임을 깨닫는다. 파리에 처음 도착했을 때에는 오직 자신의 노력과 재능에만 의지하려 했던 라스티냐크는 급기야 출세를 위해 법학 공부보다는 사교계를 발판 삼아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기로 마음먹는다. 그러면 라스티냐크가 공부보다는 사교계의 총아가 되는, 보다 신속한 출세 길을 택하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를테면 야망을 가진 시골 출신의 이 청년은 왜 개인적인 노력의 대가로서의 출세보다는 파리의 상류 사교계에서 유력한 부인을 정복함으로써 찬란한 운명을 개척하려 결심하는가? 본 논문은 『고리오 영감』이 출판(1835)될 무렵의 사회에 대한 경제적 연구를 상당 부분담고 있는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Thomas Piketty)의 불평등에 관한 저서 『21세기 자본(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에 제시된 통계 수치들에 기초하여 이 물음에 대한답변을 시도한다. 먼저 결론을 간단히 말하면, 소득의 불평등 구조를 가진 당시 프랑스 사회에서 부유한집안 여인과 결혼하여 얻게 될 상속재산이 개인의 재능과 노력의 대가로서 얻게 될 노동소득보다 훨씬 커서 안락함을 누릴 수 있는 가능성이 더 높았기 때문이다.

When he got first to Paris from Angouleme, Eugene Rastignac, the protagonist of Balzac’s Le pere Goriot was a 21-year-old student at a law school, still with his goodness, nobility, and ingenuity. Breathing in the luxurious air of Parisian palatial and splendid residences in sharp contrast to the needy reality of his family and his miserable boarding house in Paris, he undergoes a loosening of conscience and reason. This loosening infuses lots of evil thoughts into him, which comes to lead him, in agreement with Vautrin``s preaches about reality of society, to realize that success is ultima ratio mundi (the ultimate reason of this world). Rastignac, who believed only in his own efforts and merit at first, now makes his mind to improve his lot by way of the rise in high society, rather than the study of law. Then what is the reason Rastignac chooses a short cut to success by way of becoming a young lion in Paris society, rather than personal industrious efforts? In other words, why does this kind of aspiring young man decide to rise in the world, through conquering an influential Madam in the high society of Paris rather than through working hard in person? This article attempts to answer this question, in the basis of the economic statistical figures provided in the French economist Thomas Piketty``s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In spite of its title, this economic research sheds light, in a large part, on the society in which Le pere Goriot (1835) was published and consum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