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248.47
3.21.248.47
close menu
KCI 등재
상담자의 자기 돌봄(self - care) 인식에 관한 개념도 연구
Concept Mapping on Self - Care perceived by Counselor
강현주 ( Hyun Joo Kang ) , 이홍숙 ( Hong Suk Lee ) , 최한나 ( Han Na Choi )
상담학연구 17권 2호 25-45(21pages)
UCI I410-ECN-0102-2017-370-00014501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상담자들의 자기 돌봄에 관한 인식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상담자들이 인식하는 자기 돌봄의 내용을 추출하고, 상담자들이 자기 돌봄을 인식할 때 사용하는 차원과 군집을 확인하며, 자기 돌봄 군집에 대해 부여하는 중요도와 실천 빈도를 확인하였다. 먼저 자기 돌봄의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서 15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66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으며 17명의 상담자가 66개의 진술문에 대한 유사성 평정과 중요도 및 실천 빈도를 평정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 척도법 및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상담자의 자기 돌봄 인식에 관한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자들은 자기 돌봄에 관하여 2개의 차원과 7개의 군집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개의 차원은 ‘전문가적 영역-개인적 영역’과 ‘내적 자원 관리-외적 자원 활용’으로 명명되었으며, ‘상담자로서의 한계 인식과 수용’, ‘자기 자각과 조절’, ‘학습과 경력관리’, ‘관계적 지지 추구’, ‘내적 안녕감 증진’, ‘휴식과 신체건강 관리’, ‘여가 활동을 통한 환기와 충전’의 7개의 군집이 확인되었다. 각 군집에 대한 중요도 및 실천 빈도 평정 결과, 상담자들은 자기 돌봄 군집 중 ‘관계적 지지 추구’와 ‘휴식 및 신체건강 관리’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실천면에서는 ‘관계적 지지 추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제한점과 함께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counselor’s perception of self-care by us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For the purpose, this study extracted the traits of self-care perceived by counselor, identified the dimensions and clusters of self-care perceived by counselor, confirmed the importance and frequency as counselors’ perception of self-care. To explore counselor’s perception of self-care, fifteen expert counselor were interviewed and responses were rated by seventeen expert counselor regarding the frequency and importance of statements collected from the interview. As a result, 66 statements were identified as self-care perceived by counselor.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identify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 statements. Counselors perceived the self-care in two dimensions: ‘Professional vs. Personal’, ‘Internal resource’ vs. External resource’. and seven clusters: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limit as a counselor’, ‘Self-awareness and self-regulation’, ‘Learning and career development’, ‘Relational support seeking’, ‘Promotion of spiritual well-being’, ‘Relaxation and health care’, ‘Refresh through leisure activity’. The results of importance and frequency ratings suggested that ‘Relational support seek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s counselors’ perception of self-care and most often used in terms of frequ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 and limit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