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54.35
3.149.254.35
close menu
KCI 등재
부사의 의미 기능과 텍스트 -「もう」와「旣に」의 경우-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Adverbs and Text:In Case of the Mou and Sudeni
전자연 ( Ja-yeon Jun )
UCI I410-ECN-0102-2017-830-000123312

본 논문에서는 부사「もう」와「旣に」의 의미 기능에 대하여 텍스트 타입에 따라 어떠한 사용상의 특징이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다의적인 의미 기능을 갖는 「もう」는 「旣に」에 비해 사용빈도가 높으며, 소설의 회화문, 시나리오뿐만 아니라 지문(地文)에서도 자주 쓰인다. 회화문의 「もう」는 문체적으로는 격의 없는 회화체에서 사용되며, 사태가 실현된 후의 상태임을 나타내는 시간적인 의미와 화자의 평가감정(<의외성=화자의 예상보다 빨리 실현된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내는 무드적인(modal) 의미를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다. 또한 「もう」는 미래의 <비실현(irrealis)>의 사태에 관한 문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실현된 사실(realis)> 에 대한 <의외성>이 <사실로 인식하기 어렵다>고 하는 화자의 무드적인 태도라고 한다면, <의외성>의 표현 역시, 工藤(2007)에서 말하는 넓은 의미의 <비실현성>의 표현으로도 생각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사「もう」와「旣に」는 시간부사로서 유의 관계에 있으나, 무드적인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もう」는 <비현실성>의 무드적인 의미를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부사라는 점에서, 사용되는 텍스트 타입 및 문체적 특징과 연관되어 「旣に」와의 차이점을 보인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difference of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temporal adverbs mou and sudeni between two text types, spoken discourse and the narrative text of novels. The temporal adverbs mou and sudeni express basically the presence of an actualization at some time prior to reference time. Sudeni appears exclusively in formal dialogue or the narrative text of novels only to express the temporal meaning, while mou can appear in the colloquial dialogue, and express modal meaning describing the speaker`s subjectivity to code the speaker`s affective response to a situation which the speaker failed to predict(i.e. the coding of surprise). The modal meaning of mou comes to the fore in contexts describing speaker’s evaluation/feelings apparently. Furthermore, in contrast to sudeni, mou is compatible with irrealis, which portrays situations as purely within the realm of thought, such as optative and hortative sentences. When mou is used to modal meaning in realis, it functions to convey surprise entailing a judgement by the speaker that a given situation is unexpected and noncanonical, which is fundamentally the same as that Kudo(2007) calls "quasi-irrealis"The temporal adverbs mou and sudeni carry out substantially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the modal meaning, in which type of texts they are used.

1.はじめに
2.先行硏究
3.本稿の立場
4.テクストタイプと「もう」「旣に」
5.おわりに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