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190.167
18.216.190.167
close menu
KCI 등재
담(談)류의 공연예술적 장르 미학과 변모
A study on the genre esthetics and transformationof "Dam-classes" as the modern performing arts
배선애 ( Seon Ae Bae )
반교어문연구 42권 313-350(38pages)
UCI I410-ECN-0102-2017-810-000119772

이 논문의 연구대상인 ‘담’류는 근대 공연예술 환경에 조응하여 새로운 장르미학을 구축하며 등장한 근대적 공연예술로, 전통적인 이야기 문화라는 공통점을 공유하면서도 재담, 야담, 만담의 세부적인 장르 미학과 공연 주체는 서로 다르다. 1927년 김진구에 의해 대중교화의 목적으로 공연예술계에 모습을 나타낸 야담은 야담가 1인의 연행이 중심이기 때문에 야담가에게는 야담의 전문적 지식과 퍼포먼스 연행자로의 여러 자질이 요구되었다. 윤백남에 의해 오락성과 대중성을 갖춘 공연예술로 자리잡은 야담은 전시체제기에는 만담과 함께 선전선동의 전위로 공연되다가 해방 이후 인쇄매체와 소리매체로 옮겨가면서 공연예술계에서는 자취를 감춘다. ‘담’류 중 가장 늦게 등장한 만담은 신불출이 신랄한 현실 풍자를 위해 의욕적으로 실천한 장르로, 1인의 독만담과 두 명의 대화만담이 공연되었다. 1인 미디어라는 경제성과 만담이 지향하는 웃음이 전시체제기에는 동원의 근거가 되어 체제선전과 선동의 현장에서 공연되다가 해방 후 김윤심, 장소팔, 고춘자 등에 의해 전승되지만 코미디와 개그 등에 자리를 내어주고 지금은 흔적만 남았다. 가장 역사가 오래된 재담은 박춘재의 행보를 통해 확인되는 것처럼 재담말을 기본으로 하되 재담소리를 중심으로 거기에 재담극의 요소가 결합된 혼종적 장르였다. 이러한 장르적 유연성은 해방 전후로 만담과의 적극적 결합을 꾀하기도 하지만 그것은 오래 지속되지 못했으며, 이는 재담을 독자적 공연예술로 정착시키지 못한 채 전통 연희의 자장에 머물게 했다. ‘이야기’라는 공통점을 전제하면서 서로 다른 주체가 각자의 방식으로 공연예술의 장에 등장했던 ‘담’류에서 발견되는 장르 구축과 변모의 과정은 근대 극장과 근대 공연예술계에 혼재되어 있으면서도 독자적 미학을 구축해가던 공연예술 장르들의 역동적 성격을 잘 보여주고 있다.

Dam-classe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one of the new performing arts genre that was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 of modern performing arts. Yadam was started as a movement of focused on educate and mobilize the public by Kim Jin-gu. Yadam was performed with one yadam teller, he was as like as an actor. Yoon Baek-nam was established yadam that was combined entertainment and popularity. But after 1940``s second half, yadam was disappeared in modern performing arts fields. It was maintenance of existence in printed media or radio broadcast contents. Mandam was very enthusiastically appeared in modern performing arts fields by Shin Bul-chul. It played Dok-mandam that performs one mandam teller and Daehwa-mandam that dialogued between two mandam tellers. On the war basis, mandam was mobilized as a megaphone of Japanese imperialism. After liberation, it was continued by some mandam teller, but crowded out by new genre like comedy and gag etc. Jaedam, that has long history in story culture, was based on jaedam-mal and added to jaedam-sori, jaedam-guk. Jaedam-sori was very important element, because jaedam teller was traditional performer. It made unique genre regulation of jaedam as modern performing arts but because of this, jaedam could not take it``s own line. So in present day, jaedam was limited to one contents of traditional arts. Even if ``Dam-classes`` was very short time existed as performing arts genre, but it surely proof the dynamic of the modern performing arts fields.

1. 문제제기
2. 근대 공연예술로서의 야담과 만담
3. 근대 공연예술로서의 재담의 장르 재정립
4. 맺음말-근대 연극장의 역동성과 ‘담’류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