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108.11
18.217.108.11
close menu
KCI 등재
초서(草書) 간찰(簡札) ≪농암진적(農巖眞蹟)≫ 탈초(脫草),역주본(譯註本)에 대한 일검토(一檢討)
An Evaluation of Two Existing Study That Made Translation and Fair Copy of Latters Written in a cursive hand in NongAm`s Letters(NongAm JinJeog)
박영록 ( Young Rok Park )
중국언어연구 63권 205-248(44pages)
UCI I410-ECN-0102-2017-720-000260335

근래에 선인들의 편지글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남아 있는 편지의 분량을 고려할 때 아직 많이 부족한 형편이다. 일반적으로 고문헌연구란 어려움이 따르게 마련이지만, 편지글은 일단 글자 식별 과정인 탈초 작업에서부터 난점이 있으며, 문맥이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고, 여타 문헌에 잘 등장하지 않는 소소한 일들이 많아 고증하기 어려운 등의 난점이 있다. 이글은 기존에 학계에서 진행하고 있는 옛 편지글에 대한 탈초 및 번역 작업을 검토해 본 것이다. 그런데 편지글의 성격상 개별적이고 분산적이어서 논문의 체제 및 검토 분량 등의 면에서 고려할 때 하나의 문헌을 다룰 필요가 있었다. 이글은 조선 후기의 대학자인 김창협의 편지글 중 진필이 남아 있는 ≪農巖眞蹟≫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김창협이 당대 학계에서 중요한 인물이었으며, 마침 ≪농암진적≫에 대해 두 가지 탈초·번역본이 있어 두 작업의 비교도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이글에서는 우선 탈초의 문제는 제외하고, 번역의 적합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적합성이란 크게 보아 정확성과 가독성의 두 가지를 말한다. 이를 통해, 사태에 대한 논리적 구성 및 시대에 따른 문화 차이에 대해 좀 더 유의할 필요가 있음을 말하였다. 아울러 현대 한국의 한문학계에 축자적 직역의 경향이 있는데, 축자직역의 경향은 정확성과 가독성 두 가지 모두에 있어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It is not easy to translate the ancient Chinese in Modern Korean. In particular, if the source text is a letter written in a cursive hand is more difficult. The frist, Someone who can read the handwriting is not much today. Second, It has recorded the works of one of the bilateral dialogue. So someone else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ontext. In particular, events which are mentioned in th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important historically, often the fact of the matter is not recorded in the history books. NongAm is a famous scholar of the Joseon Dynasty. His disciples, named Kim Shi-jua, had put together the letters that NongAm gave him. There are two versions of translations for this letter collections. This study compared the two versions of existing studies. It is argued in this paper, when translating letters, it must consider the logical structure of text ; second, The translator must take into account the culture of contemporary Korea. In particular, the word-for-word translation should be avoided.

1. 서론
2. 장본과 초본의 장단비교
3. 장본과 초본의 공통적 문제
4. 맺음말
부록 1: 글자 차이
부록 2: 초본이 나은 사례
부록 3: 본문에서 다루지 못한 일부 사례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