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13.113
18.116.13.113
close menu
KCI 등재
정복근 희곡에 나타난 괴물의 모티프와 무대형상화 전략 -초기작을 중심으로
Monster Motif and Staging Strategy in Jeong Bok-Geun`s Play -Focused on Her Early Plays-
임준서 ( Joon Seo Lim )
우리어문연구 55권 7-42(36pages)
UCI I410-ECN-0102-2017-710-000238833

정복근(鄭福根)의 초기작에는 다양한 형상의 괴물들이 등장하여 극을 이끄는 동인으로 작용한다. 괴물 모티프를 입지점으로 삼아 정복근의 초기작 4편을 관통하는 극적 전략과 의도를 규명하고자 했다. 등단작인 「여우」(1976)에서는 동물원을 탈출한 짐승과 경비원 간의 추적과정이 그려진다. 짐승들이 둔갑술을 지닌 괴수로 묘사되며 결말에 이르러 정체가 폭로된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변신 모티프’에입각해 있다. 「산넘어 고개넘어」(1980)에서는 10인의 일행이 구미호가 출몰하는 여우산 열두 고개를 넘는 여정이 재현되는데, 이때 여우산 넘기의 여정은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기 위한 ‘통과제의적 관문’의 성격을 띠고 있다. 「밤의 묵시록」(1980)은 아파트단지를 배경으로 괴물의 출현 때문에 빚어지는 주민 간의 갈등을 그린작품이다. 거대한 새를 닮은 괴물체의 정체를 밝히려는 정수가 주민들에 의해 희생당한다는 점에서 ‘희생양 모티프’의 일면이 엿보인다. 「도깨비 만들기」(1983)는 한 부부가 낡은 집에 고양이를 들여놓으면서 겪게 되는 이야기로, 여기에서 고양이는 부부를 위협하는 괴물로 묘사된다. 낡은 집으로 인한 초자연적 사건을 다룬다는 점에서 ‘흉가 모티프’의 변주로 읽힌다. 한편, 정복근의 초기희곡에서 괴물이 형상화되는 유형은 크게 3가지로, ‘가면’, ‘시청각 효과’, ‘대사’를 통한 방법이 그것이다. 이들 방식은 간접적 무대형상화라는 공통적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무대상의 제약을 극복하고 인물의 심리와 주제를 강조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읽힌다. 정복근의 괴물에는 당대 정치권력의 억압성과 감시체계의 일상화를 암시하는 정치적 무의식이 투영되어 있으며, 그런 점에서 괴물 화소는 ‘70, 80년대 한국 정치현실의 은유(혹은 알레고리)적 재현’이다. 정복근의 정치적 무의식은 이후의 작품세계를 개화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In early plays of jeong bok-geun, a variety of monsters in the shape serves as a leading motive of event. leaning on monster motif as a point, I investigate her dramatic strategy and purpose passing through the four piece of early plays. Tracking process between the guard and the escaped zoo animals is portrayed in The fox(1976). The escaped zoo animals is monster to transform into human. In this point, this play is based on ‘transformation motif’. In acrss the mountain beyond the hill(1980) is portrayed a party of ten’s passing process over 12 of the hill on the mountain where legendary fox with nine tails appears. The passing process over the Fox Mountain is regarded as a meaning of ritual gateway of passage for new world. Apocalypse of the night(1980) is a play treating the conflict between the residents an apartment occured due to the emergence of a monster. Jeong-suh, the first repoter, falls a victim by the other residents. In the point the plot of this play is variation of scapegoat motif. Creating goblin(1983) is a play treating happening arising because of a couple’s bringing in a cat old house. in this play, the cat is portrayed as monster to overhear and threat the couple. The plot of this play is variation of haunted house motif in that it is related to supernatural incident occurred due to old house. Types of giving shape to monster on the stage in early plays of jeong bok-geun is three in that it is way using mask, audio and video effects, dialogue. They share a common trait in that it is indirect types of giving shape to monster on the stage. This trait is acquired because of writer’s intention to overcome restriction of stage, to emphasize character’s mind and theme. Lastly, I point out Jeong bok-geun’s monster motif reflected political unconscious to imply repression of contemporary political power and becoming daily routine of surveillance system, in this point monster motif is metaphorical(or allegorical) expression for korean political reality in the 70s and 80s. Jeong bok-geun’s political unconscious works as motive power to bloom blossoms of subsequent plays.

1. 정복근 희곡과 괴물
2. 괴물의 정의와 유형
3. 동물원의 괴수와 변신 모티프 - 「여우」
4. 구미호와 통과제의 모티프 - 「산 넘어 고개 넘어」
5. 괴조(怪鳥)와 희생양 매커니즘 - 「밤의 묵시록」
6. 괴물 고양이와 흉가 모티프 - 「도깨비 만들기」
7. 괴물 캐릭터와 무대형상화 전략
8. 결어 - 괴물에 투영된 정치적 무의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