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40.243
18.191.240.243
close menu
KCI 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과의관계에서 정서조절력의 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장인순 ( Insun Jang )
UCI I410-ECN-0102-2017-410-00022459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데 정서조절력이 조절변수로서 효과를 가지는지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 19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2015년 9월부터 11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간호전문직관은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를 (r=-.40, p<.001), 정서조절력과는 양의 상관관계 (r=.55, p <.001)가 있었다. 그리고 정서조절력은 임상실습 스트레스 (r=-.20, p <.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전문직관에 교수지지,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서조절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정서조절력은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높이기 위해 지지체계 구축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관리와 정서조절력 훈련 개발의 중요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Participants were 192 nursing student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5. This study has shown that nursing professionalism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linical practice stress (r=-.40, p<.001)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al regulation (r=.55, p<.001). In addition, a negative correlation has been found significant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r=-.20, p<.001). In a final model of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professor support (β=.19, p<.01),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β=.14, p<.05), clinical practice stress (β=-.19, p<.01) and emotional regulation (β=.32, p <.001) were associated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In this study, we also have shown that emotional regulation does not play a moder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improve nursing professionalism, it is important to promote support system, develop clinical-practice-stress-relief programs, and enhance emotional regulation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1.서론
2.연구 방법
3.연구결과
4.논의
5.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