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183.89
3.135.183.89
close menu
KCI 등재
수능으로 국어교육 되돌아보기
Look Back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SAT
이도영 ( Doyoung Lee )
UCI I410-ECN-0102-2017-710-000191439

본고의 목적은 수능을 통해 국어교육을 되돌아보고 이를 발판으로 삼아 국어교육에 대해 성찰하는 것이다. 수능도 평가의 일종이므로 평가 목표, 평가 내용, 평가 방법, 이 세 축을 따라가면서 이들이 국어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러한 영향이 국어교육에 어떤 문제를 제기했는지 살펴보았다. 수능의 평가 목표를 통해 볼 때, 국어교육은 범교과적 성격을 유지하면서 내용 교과로서의 지위를 잃지 않는 것이 과제였다. 이는 대사회적으로 국어과가 필요한 과목임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는 문제와 맞물려 있다. 또한 수능의 기여 중 하나는 사고력을 주된 평가 내용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하지만, 현행의 사고력은 국어과의 특성을 온전히 담아냈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언어적 사고력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국어과에서 필요한 사고력이 무엇인지를 밝혀야 한다. 평가 방법의 측면에서 보면 수능은 5지 선다형을 통해 사고력 평가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 주었다고 할 수 있다. 국어과 고유의 사고력 평가를 위한 문항 설계 방안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back on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SAT, which is intended to discus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springboard. Since the SAT contains evaluation goals, evaluation contents, evaluation method, while going along this three-axis, given what affect Korean language education, raises what problems such influence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explained that you are. When I viewed through the evaluation goal of SAT, whil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intain the pan-subject nature, that does not lose its position as a content subject has been a problem. This is engaged with the compelling issues that some proposed that large socially is a subject that requires language arts. In addition, one of the contribution of the SAT is that it was the thinking and the main contents of evaluation. However, the current thinking is, it is difficult to see and was completely p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arts. Therefore, should be clear thinking power required by the language arts through the study of the depth of the language thinking is what is. If you look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valuation method, SAT can be a are shown at the same tim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thinking assessed via a 5 or multiple choice. But when the question must be considered a design proposal for the evaluation of language arts specific thinking.

Ⅰ. 머리말
Ⅱ. 수능으로 국어교육 성찰하기
Ⅲ.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