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169.50
18.218.169.50
close menu
KCI 등재
지역주민의 정주의식과 커뮤니티웰빙과의 관계 -Kee 6자본 모형의 적용-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of Local Residents and Community Wellbeing: Applying Kee’s 6 Capital Model of Community Wellbeing
이미애 ( Mi Ae Lee ) , 이승종 ( Seung Jong Lee )
UCI I410-ECN-0102-2017-350-000185993

본 연구는 Kee의 커뮤니티웰빙 6자본 모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정주의식과 커뮤니티웰빙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Kee의 커뮤니티웰빙모형을 채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Kee의 6개 자본유형(인적, 경제, 사회, 문화, 인프라, 및 자연자본)에 포함된 커뮤니티웰빙 40개 세부지표 중 지역사회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28개의 핵심지표를 도출하였다. 둘째, 자본유형별로 추출된 28개 핵심 커뮤니티웰빙 지표가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주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지역경제 상황(경제자본), 공원 녹지 공간, 거리 청결도(자연자본), 인터넷 제공 수준(인프라자본), 자원봉사활동, 지역사회의 시민참여, 지역사회 교류(사회자본) 등으로 나타났다. 지역축제(문화자본)와 지역현안문제 관련 공청회 활동 수준(사회자본)의 경우는 정주의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 보다는 소도시가, 연령이 높을수록, 거주기간이 길수록, 거주형태가 안정적일수록, 결혼 상태가 안정적일수록 보다 높은 정주의식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단순히 양적요소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총체적 조건으로서의 커뮤니티웰빙이 유효하게 지역주민의 정주의 식에 영향을 주는 것임을 확인해주는 것이다. 또한 정책적 측면에서 이같은 결과는 지방정부가 단순히 공공서비스의 양적확대만이 아니라 커뮤니티에 대한 총체적 관점을 바탕으로 커뮤니티웰빙의 증진을 위한 물적, 질적 노력을 병행해야만 지방정부의 중요한 존립기반인 지역주민의 정주의식을 제고할 수 있음을 가르쳐주는 것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settlement consciousness and community wellbeing utilizing Kee’s community wellbeing 6 capital model. In doing so, Kee’s community wellbeing model was adop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the 40 detailed community wellbeing indicators by Kee’s 6 capital (human, economic, social, cultural, infrastructural, and natural capital), 28 key indicators that influence community settlement consciousness were derived through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econd, the effects of the 28 key community wellbeing indicators that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capital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s that had positive effects on settlement consciousness were local economic conditions (economic capital), park green spaces, street cleanliness (natural capital), Internet provision level (infrastructural capital),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community, and local community interchange (social capital). It was found that local festivals (cultural capital) and public hearing activities levels related to local pending issues had negative effects on settlement consciousness. It was found that bigger cities rather than small cities, higher age, longer residence period, stabler residential types, stabler marital status were related to higher settlement consciousness. These results confirm that not only simple quantitative factors but community wellbeing as local community’s overall conditions influences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of local residents effectively. Also, these results show that, only when local governments make efforts physically and qualitatively to promote community wellbeing based on the holistic viewpoint on community in addition to simple quantitative expansion of public service, the local residents’ settlement consciousness, which is the important foundation of local governments, can be rai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