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29.19
18.221.129.19
close menu
KCI 등재
사회자본이 노인문제감소에 미치는 효과분석 - 기초지방정부수준의 사회자본과 노인문제 지수를 활용하여-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Aging Problem: Using Aging Problem Index for Primary Local Governments
최지민 ( Jimin Choi ) , 김순은 ( Soon Eun Kim )
UCI I410-ECN-0102-2017-350-00018600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수준의 사회자본이 지역 내 노인문제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감소 시키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에 기초지방정부(227개 시군구의 2007-2012년 간 패널데이터)의 사회자본과 노인문제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활용하여 사회자본이 지역 내 노인문제(노인질병, 노인자살, 노인빈곤, 3가지 노인문제의 종합지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회자본의 긍정적 영향력은 패널고정효과분석 뿐만 아니라, 사회자본과 노인문제 간의 내생성을 고려한 도구변수모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만 노인장기요양등급자 규모로 조작적 정의한 지역 내 노인빈곤이 사회자본 수준에 비례하고 있다. 이는 지역 내 사회자본이 중증질환 노인을 증가시켰다기보다, 신청주의에 근거한 제도의 특성상 사회자본이 제도이용에 관한 정보를 확산시켰기 때문이다. 이상의 결과는 사회자본이 지역주민, 특히 고령자의 건강과 삶의 질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을 강하게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지역중심의 복지체계 구축과 개별적으로 진행 중인 마을 공동체 사업과 공공복지전달체계 간의 연계를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aging problem at the local government The aging problem was operated of the aging problem, such as elderly prevalence rate, suicide rate, poverty rate and weighted measurement value of these indicators of primary local governments. Using panel data of 227 primary local governments in Korea, collected from 2007 to 2012, panel fixed effect analysis(simple fixed effect model and two stage least square analysis with instrument) was conducted. First, we estimate a basic model, not including instrument of social capital and then compare the coefficient of social capital on institutionalization with equation with instruments to consider endogeneity of the equation. Our empirical results reveals that (1) higher level of social capital reduce elderly suicide rate and poverty rate, but (2) remarkably increase elderly prevalence rate. This contradicting result implies that the social capital help elderly to access utiliza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which is observed variable for elderly prevalence rate. Therefore, the validity of regional level elderly prevalence might be problematic without substituting proper proxy variable. And taken together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 policy implication of public service delivery for elderly from social capital perspective.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실증분석
Ⅳ. 실증분석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