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0.53
18.223.0.53
close menu
KCI 등재
병역제도 혁신을 위한 모병-징병 간 행태적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the Voluntary Military System and the Conscription to Innovate the Korean Military System
박용준 ( Yong-Jun Park ) , 김현준 ( Hyun Joon Kim )
UCI I410-ECN-0102-2017-350-000186016

본 연구는 모병제와 징병제로 대별되는 병역제도의 차이가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방력 선진화의 요구가 날로 높아져 가고 병력자원의 급격한 감소가 예측됨에 따라 병역제도의 변화가 불가피한 시점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병역제도의 두 개의 큰 축인 모병제와 징병제에 대한 연구는 매우 시급성이 높다. 이 연구는 병역제도가 장병들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병역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병역제도의 직접적인 영향과 스트레스와 전투역량을 매개변수로 한 간접적인 효과를 동시에 고려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조직의 구성, 편제, 전·평시 임무, 지리적 배치 등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유사성을 가지지만 상이한 병역제도에 기반한 두 개의 부대인 특전여단(모병제)과 특공연대(징병제) 장병 2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병역제도의 차이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트레스와 전투역량을 매개변수로 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모병제가 구성원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역량을 제고함으로써 조직몰입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모병제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간접적으로만 발생하는 점으로 볼 때, 징병제를 유지하면서도 부대 운영 방식과 교육훈련을 장병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전투역량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함으로써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Transforming the current military system is an urgent policy agenda due to the increasing concerns on the dilapidated national defence system as well as on the imminent population cliff shaking the basis of the current conscription system.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n how two distinctive military systems, voluntary system vs. conscription, exert different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research question addresses whether the type of military system creates any behavior differences of soldiers. The proposed structural equation model suggests that soldi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affected directly by the type of military system and indirectly through the levels of job stress and combat competency. The data for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llected from a survey conducted to 292 soldiers serving in either a Special Forces Brigade (a voluntary military unit) or a Special Assault Commando Regiment (a conscription uni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vidence supports the direct influence of military system type o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Yet, serving in a voluntary military unit is found to decrease the solider’s stress and reinforces military competency, and further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irectly. This finding may imply that reducing work stress and enhancing combat competency by improving the soldiers’ quality of life, which is typically better in voluntary military units, can be as important as transforming the military system itself.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Ⅳ. 연구 조사 방법
Ⅴ. 분석 결과
Ⅴ.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