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112.1
13.58.112.1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문학 로컬리티 연구의 전개 양상과 남은 과제들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s locality studies and remaining tasks
김명훈 ( Myong Hoon Kim )
어문론총 68권 133-157(25pages)
UCI I410-ECN-0102-2017-810-000359621

이 글은 한국현대문학 연구에서 ‘로컬리티’ 개념이 주요 학술 주제어로 부상하게 된 과정을 추적하고 그간 제출된 로컬리티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되짚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로컬리티 연구는 2008년대 중반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데, 이 같은 현상은 한국현대문학 연구의 흐름 속에서 파악할 때 일차적으로 탈식민주의 담론의 부침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탈식민주의는 민족국가의 틀을 초월하려는 탈근대 담론의 성격을 지니지만 한국현대문학 연구에서는 민족문학을 옹호하기 위한 반(反)식민적 전략으로 전유되는 경우가 잦았다. 그러나 토착화된 탈식민주의 담론은 민족문학의 특권적 지위를 온전히 해체하지 못한 채민족과 제국의 이분법을 재생산함으로써 로컬리티를 특수성의 영역으로 제한하 기도 했다. 탈식민주의 담론의 한계에 직면하여 로컬리티 논의는 점차 민족국가내부의 위계를 해체하기 위한 전략으로 재사유되었다. 이 같은 로컬리티 사유방식은 크게 세 가지 형태를 취한다. 첫째, 중심과 주변을 전제하되 중심을 지향하는 차원의 로컬리티, 둘째, 중심과 주변의 위계를 해체하며 전체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것으로서의 로컬리티, 셋째, 중심을 비판하는 방향으로 정향된 정체성정치 단위의 로컬리티 등이 그것이다. 이상 세 가지 로컬리티 구성 방식의 한계를 지양하고 그 가능성을 포지할 때 최종적으로 추상되는 로컬리티의 이상은 국민국가 내부의 부당한 집합적 가치 체계를 해체하고 국민국가의 실질적인 경계내에서 공공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기존의 지역연구 에 통시적 시각을 도입함으로써 지역 공공성이 파괴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지역 정체성의 공공적 측면을 발굴해야 할 것이다.

This writing is written in order to trace the process of the concept ``locality`` being floated as a major scholarship subject term in the stud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look back the meaning and limit of the locality studies submitted meanwhile. Locality studies increase explosively after the middle 2008s, this phenomenon is primarily involved with ups and downs of postcolonialism discussion when grasping in the flow of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ies. Postcolonialism has a nature of postmodern discussion which transcends the frame of a nation-state, but more often it is monopolized as anticolonial strategy for defending ethnic literature in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ies. However naturalized postcolonialism discussion limits locality to the field of specialty by reproducing dichotomy of ethnicity and empire without deconstructing privileged status of ethnic literature entirely. Facing the limit of postcolonialism discussion, debate of locality is gradually reconsidered as the strategy for deconstructing a rank of inner nation-state. The way of considering of locality as above is taking three forms largely. First, locality which aims the center while imposing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s. Second, locality as the individual thing which deconstructs the rank of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s and composes the whole. Third, locality as a unit of identity politics which criticizes the center. When rejecting the limit of those three ways of composing locality and having the possibility in mind, the ideal of locality which is abstracted finally is to deconstruct unfair collective value system of inner nation-state and to create the public value in the actual boundary of nation-state. Along with this, we will have to analyze the process of local publicity’s being destroyed and discover the public aspect of local identity by introducing a diachronic view to the existing local studies.

1. 로컬리티 연구의 세 가지 방향과 문학의 위치
2. 토착화된 탈식민주의 담론과 ‘식민지 조선’의 로컬리티
3. ‘식민지 조선’의 로컬리티에서 국민국가 내부의 로컬리티로
4. 지역 공공성의 정립과 로컬리티 연구의 갱신을 위한 남은 과제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