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218.62
3.16.218.62
close menu
KCI 등재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 심리적 수용에 따른 군집 비교: 긍정 정서, 부정 정서, 불안 및 우울
Clustering by emotional clarity, emotional expression,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Group differences on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nxiety, and depression
이서진 ( Seojin Lee ) , 김은하 ( Eunha Kim )
상담학연구 17권 3호 65-87(23pages)
UCI I410-ECN-0102-2017-370-00030839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연구 1과 연구 2를 통해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 심리적 수용에 따라 어떠한 하위집단이 있는지 살펴보고 군집에 대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두 대학생 표본을 대상으로 교차타 당화하였다. 또한 각 하위 집단별로 긍정 정서, 부정 정서, 불안 및 우울 점수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1의 대상은 대학생 307명이었고, 군집분석 결과, 4개의 집단(군집 1 ``표출과 회피``, 군집 2 ``혼란과 억압``, 군집 3 ``표출과 수용``, 군집 4는 ``억압과 수용``)이 나타났다. 이렇게 도출된 네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군집 3은 긍정 정서 수준이 가장 높고 부정 정서, 불안, 우울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가장 적응적인 반면에, 군집 2는 부정 정서, 불안, 우울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장 부적응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군집 1의 경우 군집 2보다 우울 수준이 낮았지 만, 부정 정서와 불안 수준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고, 군집 4보다 부정 정서, 불안,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 3과 4의 경우 부정 정서와 불안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군집 4 가 군집 3에 비해 높은 우울 수준을 보였다. 또한 대학생 79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2에서는 연구 1 의 중심값을 기초로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대해 조정된 랜드지표값(ARI)을 산출하였고, 그 결과 .90이상으로 높은 수준의 교차타당도가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 determine clusters of emotional clarity, emotional expression,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b) establish cross validity of the cluster solution. In addition, differences on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nxiety, and depression were examined across the cluster groups. In study 1 ( n=307),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yielded four groups as follows: ``expression and avoidance`` (Group 1), ``confusion and suppression`` (Group 2), ``expression and acceptance`` (Group 3), and ``suppression and acceptance`` (Group 4). Among these four groups, Group 3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ositive emotion and the lowest level negative emotion, anxiety, and depression, meaning Group 3 is a best adjusted group, whereas Group 2 showed the highest level of negative emotion, anxiety, and depression, meaning Group 1 is the lowest adjusted group. In addition, Group 1 had a lower level of depression than Group 2, but similar levels of negative emotion and anxiety. Compared to Group 4, Group 1 had higher levels of negative emotion, anxiety, and depres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negative emotion or anxiety between Group 3 and 4, but Group 4 had a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Group 3. In study 2 ( n = 79), Adjusted Rand Index (ARI) was calculated by the two results of K-means analysis using the final seed points of study 1 and a two-step cluster analysis. Given ARI was greater than .90, a high level of cross-validation was establish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