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194.39
18.217.194.39
close menu
KCI 등재
두 개의 모닥불 -백석 시『모닥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
Two Bonfires -Study on Baek-suk`s poem 「Modakbul> -
오성호 ( Seong-ho Oh )
배달말 58권 127-155(29pages)
UCI I410-ECN-0102-2017-710-000309648

백석의 시 모닥불은 흔히 화합과 합일의 공동체에 대한 꿈을 표현한 작품 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이런 통상적인 해석이 이 시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에서 비롯된 잘못된 것임을 강조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이 시에 대한 해석은 1연과 3연에 등장하는 모닥불의 차이와 관계, 그리고 양자를 연결하는 할아버지의 삶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이런 관점에서 이 논문에서는 1, 2연의 모닥불이 3연에 제시된 모닥불의 연장선상에 놓인 것이며, 따라서 두 모닥불은 할아버지의 삶의 양 극단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았다. 3연의 모닥불은 역사(청일전쟁과 그것을 종결짓는 평양성 전투와 이후 양군의 군사 활동)에 의해 상처 입은 할아버지의 유년시절과 관련된 것이다. 그에 비해 1, 2연의 모닥불은 그역사의 상처를 극복하고 어엿한 일가를 이룬 할아버지의 삶과 관련된 것,다시 말하자면 할아버지 생애의 한 정점이라고 할 수 있을 손녀의 혼사와 관련된 것이다. 이렇게 보면 1연에서 열거된 다양한 사물을 모닥불 속에 던져 넣어 태우는 것은 혼례식 마당을 정화하기 위한 것인 동시에 할아버지의 고통스러운 삶과 기억을 정화하는 제의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1연에서 열거되는 다양한 사물 - 쓰레기들은 할아버지의 삶과 관련된 고통스러운 경험과 기억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2연에는 모든 사람에게 고르게 온기를 나누어주는 모닥불처럼 이 집안이 번창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이 시는 할아버지가 이룩한 인간 승리에 대한 외경의 감정, 그리고 할아버지가 일구어낸 집안이 더욱 번창하기를 바라는 손자의 마음을 모닥불과 그 주위에 모여 불을 쬐는 하객들의 모습을 빌어 표현한 시라고 할 수 있다.

Baek-suk’s poem “Bonfire” is commonly read as an expression of the poet’s aspiration for a harmonious community. However, I would argue that this interpretation is derived from a superficial reading of the poem. In this article I suggest an alternative reading of the poem, with a particular focus on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meaning of a bonfire as presented in the first and third stanzas. I will also focus on how the figure of the grandfather bridges these two stanzas. The bonfire described in the first and the second stanza is an extension of the bonfire image in the third stanza, and these two images of a bonfire represent the two polarities in the grandfather’s life. The bonfire in the third stanza is closely related to historical events (i.e., the First Sino - Japanese War, the Battle of Pyongyang that concluded the war, and both the Chinese and Japanese military activities) and the grandfather’s childhood that was indelibly marked by this historical chaos. Conversely, the bonfire in the first two stanzas of the poem relates to the latter years of the grandfather’slife - the war - torn years when he persevered and built a family of his own - and culminates with the celebration of his granddaughter’s marriage. Therefore, the litter of objects identified in the first stanza attains a metaphorical layer of meaning - they embody the grandfather’s painful memories and experiences. In this sense, the act of sweeping these into the fire is not only a practical act of cleaning the yard for the upcoming marriage but experiences.In addition, the second stanza illustrates the narrator’s (the grandson’s) wish for the family to flourish in a way that a bonfire would evenly distribute warmth for everyone around it. In sum, the poem builds toward a feeling of awe with respect to the grandfather’s achievements as a survivor of history and expresses the grandson’s wish for the product of his grandfather’s life - the extended family - to thrive and prosper through the images of a bonfire and people warming themselves around it.

1. 머리말
2. 서사적 시간의 도입과 ‘숨은 주인공’
3. 모닥불의 축제적 성격과 상징적 의미
4. 재앙의 모닥불, 혹은 ‘슯븐력사’의 흔적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