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251.22
18.226.251.22
close menu
KCI 등재
수주 변영로의 초기 문학에 나타난 방랑과 이상적 공동체론
Ideal Community Theory and Wandering Represented in Suju Byeon, Young-ro`s Early Literature
최호영 ( Choi Ho-young )
인문논총 73권 3호 147-179(33pages)
UCI I410-ECN-0102-2017-000-000413062

이 글의 목적은 수주 변영로의 초기 문학에 나타나는 방랑의 모티프를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그에 따라 탐색하고자 하는 이상적 공동체의 상(像)과 의의를 해명하는데 있다. 변영로의 초기 시들을 검토해보면 일관적으로 상실한 ‘님’에 대한 지향성을 ‘방랑’과 ‘꿈’의 반복성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님’=‘조선’이 그에게 ‘생명’의 근원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여기서 나아가 그는 ‘조선’을 ‘생명’의 근원인 ‘정신’에 위치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탐색하기 위해 상징주의나 신비주의를 수용하기도 하였다. 이를 토대로 그는 ‘개성’을 도입하여 개인의 주체성과 조선적 특이성이 세계적 보편성으로 확장될수 있는 공동체를 구상하고자 했다. 1920년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변영로는 방랑을 기행의 방식으로 구체화하고 있으며 당대 문단에서 대표적인 전통적 양식으로 거론되었던 시조를 차용하여 이상적 공동체를 모색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그가 특히 민족사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백두산을 기행하고 이를 시조에 담아내려 한 것은 단순히 민족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 그가 구상해오던 이상적 공동체의 원형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그와 영향관계에 놓인 단재 신채호와 위당 정인보의 역사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은 변영로의 초기 문학을 민족주의의 이념에 환원하려는 관행에서 벗어나 거기에 얽혀있는 풍부한 의미망들을 읽어냄으로써 1920년대 초기 문학의 ‘공동체’에 대한 논의가 더욱 생산적인 방향으로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pecifically examine the mode of wandering consistently represented in Suju Byeon, Young-ro’s early poems and to elucidate the significance and form of ideal community. Byeon, Young-ro’s early poems revealed the intentionality of the subject called ‘Nim’ by expressing repeatability of ‘dream’ and ‘wandering’, thereby showing that it was the origin of ‘life’ to him. Based on this, he came up with the idea of community where Joseons particularity and individual independence could be expanded into a global universalit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individuality’. In the mid-1920s Byeon, Young-ro specified wandering into the method of travel and explored ideal community by borrowing sijo(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discussed as a classical form in the contemporary literary world. This point can be verified with the historical book written by Danjae Shin, Chae-ho and Widang Jeong, In-bo.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s the mode of wandering in his early poems as the device to investigate community, which can be an alternative of the reality of Joseon period, and to explore the origin of ‘life’ rather than as returning to the ideology of nationalism.

1. 들어가며:1920년대 초기 문학과 변영로 문학 연구의 문제점
2. ‘님’이라는 숭고한 대상을 둘러싼 방랑과 꿈의 모티프
3. ‘생명’의 근원으로서의 ‘조선’과 ‘개성’의 도입을 통한 이상적 공동체의 구상
4. 기행의 방식과 시조의 형식을 통한 공동체의 원형 탐색
5. 나오며: 1920년대 문단에서 변영로 초기 문학의 의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