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50.89
3.17.150.89
close menu
제3자에 대한 반소의 적법성 - 대법원 2015. 5. 29. 선고 2014다235042, 235059, 235066 판결 -
Legality of a counterclaim against a third party
전병서 ( Chon Byungseo )
법조협회 2016.08
최신판례분석 65권 7호 547-565(19pages)
UCI I410-ECN-0102-2017-360-000398378

대상판결(대법원 2015. 5. 29. 선고 2014다235042, 235059, 235066 판결)은 피고가원고 이외의 제3자도 추가하여 반소피고로 하는 반소는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아니하고, 다만 피고가 제기하려는 반소가 필수적 공동소송이 될 때에는 민사소송법 제68조의 필수적 공동소송인 추가의 요건을 갖추면 허용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은 제3자에 대한 반소의 적법성에 관한 첫 번째 대법원 판결로 그 의의가 크다. 다만, 본 글에서는 대상판결의 사안과 같이 필수적 공동소송 관계가 아닌 경우의 제3자에 대한 반소를 부적법으로 본 대상판결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범위를 좀더 넓게 허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소송의 소극적 당사자의 지위에 몰리게 된 피고로서는 사안에 따라 수동적 입장에서 오히려 주도적 입장으로 전환하여 본소와 무엇인가 관련관계에 있는 제3자에 대하여 반소를 제기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e Supreme Court Decision No. 2014 Da 235042, 235059, 235066 rendered on May 29, 2015 (Decision) holds that a defendant, in principle, may not file a counterclaim against any third party, in addition to a plaintiff. It also states, however, that if a counterclaim to be instituted by the defendant constitutes a mandatory joint action, such counterclaim may be permitted upon satisfaction of the requirement for addition of a mandatory joint litigant under Article 68 of the Civil Procedure Act. The Decision is of great significance since it is the Supreme Court``s first ruling on the lawfulness of a counterclaim against a third party.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Decision which finds a counterclaim against a third party illegal when it is not a mandatory joint action as in the case subject to the Decis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cope of a lawful counterclaim against a third party should be broadened. It also emphasizes that a defendant, who passively became a party to litigation, should be allowed to shift to a proactive stance according to relevant circumstances and file a counterclaim against an appropriate third party related to the original claim in any manner whatsoeve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