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80.32
3.137.180.32
close menu
KCI 등재
초기부모애착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arly Parental Attachment Scale(EPAS)
김미선 ( Kim Mi Sun )
상담학연구 17권 4호 95-113(19pages)
UCI I410-ECN-0102-2017-370-00040049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어린 시절 부모와의 애착 관계를 평가하는 초기부모애착척도(EarlyParental Attachment Scale: EPA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모애에대한 문헌적 고찰에 근거하여 외국의 부모애착 척도들을 비교 분석함으로 예비척도 50문항을 제작하였다. 상담심리 전문가와 국어교사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은 후 서울, 경기, 인천 지역 20세이상의 성인 241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 한 결과 불안-양가 9문항, 회피 9문항으로구성된 18문항을 선정하였다. 하위요인 중 불안-양가애착은 부모와의 관계에서의 불안정성을, 회피애착은 부모와의 관계에서의 정서적 거리감의 정도를 보여준다. 수도권 지역의 30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요인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으며, 부모애착과 관련된변인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공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 불안-양가와 모 불안-양가, 부회피와 모 회피는 서로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이고, 부.모애착 불안-양가와 성인애착 불안-양가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부.모애착 불안-양가 및 회피 모두 실존적안녕감과는 부적상관을 보이고 특성불안과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7점 Likert 방식으로 구성된 초기부모애착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부애착불안-양가 .91, 회피 .93, 모애착 불안-양가 .89, 회피 .90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Early Parental Attachment Scale(EPAS) that measures early parental attachment of Korean adults. For this purpose, a preliminary scale consisting of 50 questions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and foreign scales on early parental attachment. After it was approved by professional counselors and Korean language teacher, the scale was used to measure early parental attachment of 241 adults over age of 20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8 questions - 9 questions on anxiety-ambivalence, and 9 questions on avoidance- were selected. Out of 2 sub factors, anxietyambivalence measures instability in parental relationships, while avoidance measures distance in parental relationships. Two-factor model was validated after conduc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302 adult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EPAS and related variables, EPAS was positively related to Adult Attachment(ECR-R) and Trait Anxiety(STAI-T), but negatively related to Existential well-Being Scale(EWBS), demonstrating convergent and incremental validity. EPAS``s internal reliability was paternal attachment anxious-ambivalent .91, avoidant .93. maternal attachment anxious .89, avoidant .90.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