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83.137
3.145.183.137
close menu
KCI 등재
학원정보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사교육 공급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the Supply of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in Seoul Using Administrative Data on Hagwon
문상균 ( Sanggyun Moon ) , 배한나 ( Hannah Bae ) , 최재성 ( Jaesung Choi )
조사연구 17권 3호 81-108(28pages)
UCI I410-ECN-0102-2017-330-000400988

학생들의 사교육 이용은 사교육 수요뿐만 아니라 사교육 공급에도 영향을받는다. 따라서 인구학적 특성과 지역에 따른 교육 기회의 격차를 이해하고,교육 정책의 개발 및 효율적 집행을 위해서는 사교육 공급 측면을 정확하게파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나이스 학원 민원서비스를 통해 공시되는 서울에 소재한 모든 학원에 대한 정보를 수집(web scraping)하고, 공시 자료에 포함된 개별 학원의 주소와 학원에서 제공하는 수업 정보를 활용하여 서울시 사교육 공급의 공간분포를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지역 과목특성 학교급별 차이에 주목한다. 분석의 결과, 서울시 사교육 공급은 소수의 행정동을 중심으로 매우 집중되어 있으며, 행정구 사이의 격차뿐만 아니라 동일 행정구에속한 행정동 사이의 격차도 현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행정구 수준에서는 상대적으로 사교육 접근성이 낮은 지역으로 분류되더라도 해당 행정구 내에서는 사교육 공급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는 행정동이 존재함이 드러났다.분석대상을 고급 과목으로 한정하여 살펴보면 전체과목을 대상으로 분석한결과와 비교할 때 지역에 따른 사교육 공급 격차가 보다 두드러졌다. 마지막으로 학교급별 사교육 공급의 차이를 살펴보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의 경우가 중학생이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 비하여 지역에 따라불균등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확인된 지역별 사교육공급의 격차는 사교육 소외 지역에도 양질의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하여 교육 기회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의 필요성을시사한다.

The use of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is affected not only by demand but also by supply of those program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upply side of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gap in the use of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across demographic groups and also its geographic variations. It would be also helpful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education policies and their successful implementation. For this study, we scrapped information on private tutoring institutes, Hagwon, disclosed on the website administered by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Exploiting this unique data set which contains exact location of entire private tutoring institutes and program details offered by them, we examin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agwon and their programs in Seoul. We paid a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across administrative boundaries, characteristics of programs, and level of school. We find that supply of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in Seoul is highly concentrated around a small number of Haengjeong-dong, and that there is also a substantial variation in the supply of those programs across Haengjeong-dong within the same administrative district. In addition,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there is at least a core Haengjeong-dong which performs a dominant role as a main supplier of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Furthermore, when we narrow our analytic sample to more selective or advanced programs, the access gap across administrative boundaries gets more pronounced. Lastly, programs targeted for high school students are more unevenly distributed across administrative boundaries compared to those targeted for middle 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geographical access gap to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especially striking for selective and advanced ones, calls for policy efforts to reduce the gap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by providing alternative chances for students living in areas where there are insufficient supply of quality program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