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119.251
3.22.119.251
close menu
KCI 등재
우리말 권주가(勸酒歌)의 계통적(系統的) 연구
Systematic study of Korean liquor recommending songs
강재헌 ( Jaeheon Kang )
UCI I410-ECN-0102-2017-810-000396339

음주가 인간의 삶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문화이며 그 안에서 문학적 생성이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연구는 음주 문학 중에서도 권주라는 독특한 기능을 담당하는 시가, 특히 우리말 권주가의 특성을 살피고 동양 문학에서 그 연원이 오래된 ‘장진주’ 시가의 맥을 잇고 있는 우리말 권주가의 내용적 일체성과 작품군의 실상을 고찰한다. 우선 우리말 권주가가 갖는 주제의식과 그 표출 양상을 살폈다. 내용적으로 이 작품들은 모두 당나라 이백, 이하의 <장진주>에서 드러냈던 주제의식이라는 전통을 따르고 있다. ‘인생무상에서 오는 비애의 정감’과 그에 따른 ‘음주의 당위’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 주제의식은 <장진주사>부터 12가사류<권주가>까지를 모두 관류(貫流)하고 있다. 또 이 작품들은 이러한 주제를 나타내기 위하여 몇 가지 동일한 표출 양상을 보인다. 우선 이하의 <장진주>에서 비롯된 죽음 이후의 무의미함을 통해 인생무상을 노래한다. 사망 이후에 누가 술을 권하겠는가라고 지적하여 비애와 당위를 모두 드러내는 양상이다. 다음으로 권주의 대상 ‘君, 그대’가 표면적이거나 내면적으로 등장한다. 자작(自酌)이 아닌 수작(酬酌)의 기능을 담당하기 위한 노래이기에 대상의 존재는 필연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술 권하는 행위가 언사(言辭)로 나타난다. ‘잡으시오, 먹새그려’ 등의 직접적 명령이나 권유 외에 ‘안 먹으려 하는가’와 같은 간접적 요구도 등장한다. 이러한 어구들이 모두 권주의 실제적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다음으로는 우리말 권주가의 세력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이 계통의 최초 작품은 <장진주사>라 할 수 있다. 이 노래와 함께 청구영언에 수록된 신흠·김천택·무명씨의 시조, 박인로의 <권주가>는 동시대에 향유되었다. 또한 12가사 <권주가> 역시 18세기에 형성되었는데 후대 가집에서 앞의 세 종과 혼재되어 나타난 양상을 보인다. 즉 네 노래가 일정 시간에 같은 연행 공간에서 향유되었다. 그런데 이들은 한 계통으로 파악되기보다는 개별 작품으로 취급되는 경향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를 하나의 독립 계통으로 보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렇게 여러 형태의 노래를 하나의 계통으로 파악했던 예를 ‘어부가’에서 찾을 수 있다. 한시 ‘어부사’에 대비하여 우리말 노래를 ‘어부가’로 계통화한 것이다. 그에 비출 때, 우리말 권주가 역시 계통화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파악하였다. 물론 각편 연구에서 얻어지는 의미도 크다고 하겠다. 그렇지만 계통화를 통해 국문시가의 폭과 영역이 확장되고 문학사의 지평도 확대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말 권주가에 대한 시각을 거시화한다면 조선 후기 우리문학사가 풍성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우리가 현재 전수받은 작품들이라는 것은 그 세력이 강하든 약하든 생존하였다는 의의를 지니므로 이외의 작품 역시 그 가치가 크다. 더욱이 선인들 역시 <장진주사>의 존재가 막강함에도 다른 우리말 권주가를 향유하고 창작하였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김수장 시기에 「어부가」가 하나의 작품군으로 독립성을 지닌 것처럼 지금 시기에 우리말 권주가를 개별적 계통으로 인정해야 옳다고 여긴다.

Drinking is a culture that occupies a huge part in human life. As a result, it is true that literary creations continue to appear within such culture. This research seeks to examine the features of poetries that play the role of the unique function called gwonju (offering drinks) among the drinking literature, and in particular, the features of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The substantive uniformity of the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and the reality of the group of works that inherit the pulse of the poetry of ‘Jangjinju,’ which has long been originated from the eastern literature, will also be studied. First of all, this research examined the thematic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aspect of the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Substantively, the works all follow the tradition of the thematic consciousness appearing in ‘Jangjinju’ of Lee Baek and Lee Ha during the Tang dynasty. The thematic consciousness that can be organized into two themes, which are ‘the feeling of sorrows coming from vanity of human life’ and ‘the justification of drinking’ pursuant to such feeling, all flow through from ‘Jangjinjusa’ to ‘Gwonjuga,’ a 12 Lyrics Collection. In addition, these works show several of the same expression aspects to show such themes. First of all, vanity of human life is sang through the meaninglessness of post-death originating from ‘Jangjinju’ of Lee Ha. It shows an aspect of exhibiting both sorrow and justification by asking, who would recommend drinking after death. Next, the object of gwonju, ‘Mr., You,’ appears externallyor internally. It can be said that the existence of others was necessary because it was a song playing the role of the function of exchanging drinks by filling the other``s glass rather than drinking by oneself by filling one``s own glass. Lastly, the act of recommending drinking appears through the language. In addition to the direct orders or suggestions to drink, such as ‘Drink,’ or ‘Let’s drink,’ indirect demands such as ‘Are you not trying to drink?’ appear as well. These phrases are all used as a device to show the actual feature of gwonju.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power of the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and the possibility of its systematization. The first work of this category that may be confirmed at present is ‘Jangjinjusa.’ The Korean poems of Shin Heum, Cheon-taek Kim, and an anonymous poet and ‘Gwonjuga’ of Park In-ro that were included in Cheonggu-Yeongeon along with this song, were listed in the same collection of poems because they were enjoyed in the same era. In addition, ‘Gwonjuga’ in the 12 Lyrics Collection was also formed in the 18thcentury,whichshowtheaspectofappearingincombinationwiththethreeprevioustypes. Thus, four songs were enjoyed in the same entraining space at a certain time. However, there was a trend of treating these as individual works rather than under one system. This article made attempts to regard these as one independent system. An example of trying to understand various forms of songs under one system can be found in ‘Eobuga.’ It has systematizaed Korean language songs as ‘Eobuga’ in comparison to the Chinese poem, ‘Eobusa.’ In light of such, the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were understood to be sufficiently likely to be systematizaed under one system. Of course, the meaning obtained in the study of each song is huge. However, the breadth and sectors of Korean language poetry can be expanded and the horizon of the literary history can be enlarged through systematization. Thus,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at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era can be expected to become richer when having a macroscopic view regarding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Moreover, the works that we inherit at present have meaning through its survival, whether or not they have strong or weak power, thus accordingly, other works also have huge value.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be reminded of the fact that our ancestors enjoyed and created other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even when the existence of ‘Jangjinjusa’ was strong. Therefore, just as ‘Eobuga’ gained a status of an independent collection of works during the Kim Su-jang era, it would be proper to acknowledge the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as an individual system this day.

1. 서론
2. 내용의 계통성
3. 계통화된 유통
4. 결 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