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33.178
3.138.33.178
close menu
KCI 등재
깨달음, 선시, 그리고 그 갈래
Bodhi[悟道], Zen poetry and its Classification system
조태성 ( Jo Tae-seong )
UCI I410-ECN-0102-2017-810-000396415

이 글의 주요 목적은 현행 선시의 갈래 체계를 재탐색하는 것에 있다. 갈래 체계는 그것이 속한 결과물들을 모두 그 체계 안에 포섭함으로써 그 문학적 가치를 더욱 확고하게 정립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미 보편화되다시피 한 현행 선시의 갈래 체계는 이러한 가치를 확실하게 담보하고 있는가? 예외의 여지를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이에 대한 대답은 역시나 유보할 수밖에 없는 것이 지금의 실정이다. 그런 까닭에 이 글에서는 기존 갈래 체계에 대해 먼저 분석해보고, 이를 토대로 좀 더 대안적인 갈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시의 핵심 주제라고 할 수 있는 깨달음에 대한 정의와 그 시적 경계에 대해 살펴보는 일을 선행하였다. 선시가 가진 선적 측면 이외의 가치를 보다 확실하게 드러내 보이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가 시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이러한 선행 작업들이 선시의 갈래 체계가 가진 문학적 의의를 보다 확실하게 드러낼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는 선시의 한 지향점으로서 선취시의 위상 재고를 제안하였다. 선취시를 선시의 한 갈래로 취급하기보다는 선시의 한 지향으로 삼아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물론 그간의 연구 성과들에서도 선취시는 선시의 최고 가치로 평가되어 왔지만, 더불어 이를 인위적으로 어느 체계 안에 포섭시킴으로써 오히려 그 가치를 축소해버리는 결과를 낳았다고 보기 때문이기도 하다. 선시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시적 경지가 선취시라고 한다면 이제 그것은 구체적인 어떤 갈래의 명칭이 아니라 추상적인 시적 지향처가 되어야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urrent Zen poetry. The classification system is that to be able to establish more firmly the literary value by inclusion in the system all of the output to which it belongs. therefore This article tried to analyze the exist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to present a more alternative th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it. To do this, first we looked at again for the realization of the core subjects of Zen poetry. And it was leading the operation to look for its poetic boundaries. Also it discussed that these values could be implemented in any way through Zen poetry. Finally, this article proposed a phase of ‘Seonchwisi’ as the focus of Zen poetry. Of course, in the meantime research results it has been evaluated as the best value in Zen poetry. However, by inclusion in Artificially system, it rather reduced its value. If Zen poetry that is ultimately to be a poetic heights oriented ‘Seonchuisi’, now it should be the specific poetic ideal, not a classified name.

1. 머리말
2. 깨달음의 경계와 선시의 공간 
3. 기존 갈래 체계의 한계와 제언
4. 남은 문제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