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26.241
18.118.126.241
close menu
KCI 등재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또래중재 연구 메타분석: 국내 실험 연구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n Context : A Meta-Analysis
박영근 ( Park Yung Keun ) , 이제영 ( Lee Je Young )
UCI I410-ECN-0102-2017-370-000390578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된 또래교수 연구 중 실험연구의 전반적인 동향과 각 변인별 중재 효과의 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또래교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연구 8편 중 20개의 연구 사례를 선정하여 각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를 메타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랜덤효과 모형을 기준으로 또래중재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상당히 큰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학교급별 평균 효과크기는 초등학생, 고등학생, 중학생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유형별로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학습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급유형별 평균 효과크기는 통합학급, 특수학급, 특수학교의 순서였으며, 또재중재 유형별 평균 효과크기로 살펴본 결과 동급학생 또래중재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상호적 또래중재, 상급학생 또래중재, 전체 또래교수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래 교사 유형에 따른 또래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면, 일반학생이 교사 역할을 한 경우가 장애학생이 교사 역할을 한 경우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또래중재 프로그램은 장애학생의 경우가 일반학생의 경우보다 조금 더 큰 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별로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사회, 체육, 읽기, 수학, 진로의 순으로 모두 보통 이상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고, 종속변인의 분야별로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또래중재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정의, 인지, 신체의 순이었으며, 이 중 정의와 인지 부분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effects of peer tutoring o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meta-analysis of 20 research findings in 8 articles was conducted to synthesiz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studies by calculating the mean effect sizes. This study analyzed and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subjects, classroom types, peer tutoring types, teacher types, contents, and dependent variables such as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eer tutoring had highly beneficial effects on learner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Second, the effect siz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in terms of disability types, the peer tutoring program had more effects on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an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urth, the effect sized of general classroom had larger than special classroom and special school. Fifth, same-age peer tutoring was more effective than interactive, cross-age, and class-wide peer tutoring. Sixth, the individual effect sizes of school subjects were over .70, including social studies, physical education, reading, mathematics, and career education respectively. Finally, the effect sizes of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physical domain was no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