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220.114
18.217.220.114
close menu
KCI 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직장생활적응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남한출신 관리자와 북한출신 근로자의 상호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daptation and Barrier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n Workplace
김중태 ( Jung Tae Kim ) , 김광웅 ( Kwang Woong Kim ) , 문병기 ( Byung Gi Moon )
UCI I410-ECN-0102-2017-330-000382629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생활에서 남한출신 관리자와 북한출신 근로자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직장생활적응 장애요인과 그러한 장애요인의 발생배경에 대한 양자의 인식적 차이를 고찰하기 위함이다. 이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관련 문제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남북한출신 주민들의 일상적 상호작용을 양자의 입장에서 심층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직장을 ‘접촉지대’로 개념화하고, 상호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질적 방법을 통한 두 집단간 비교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북한이탈주민 직장생활적응의 장애요인에 대한 남한출신 관리자들과 북한출신 근로자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남북한 출신 관리자와 근로자들의 장애요인과 우선순위에 있어서 상당히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남한출신 관리자들은 북한출신 근로자들의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 즉 업무태도와 자세, 업무능력 부족, 그리고 대인관계 등을 주요 장애요인으로 인식하였다. 반면, 북한출신 근로자들은 남한사회의 차별과 편견, 낯선 남한의 업무와 대인관계 등 사회문화적 환경, 그리고 자신들의 업무능력 부족을 주요 장애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북한이탈주민 직장생활적응 장애요인의 발생배경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남한출신 관리자들은 온정적이고 과잉된 정착지원제도와 북한의 “사회주의식” 직장문화 행태의 잔재를 강조한 반면, 북한출신 근로자들은 남북한 언어 및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노동관행과 갈등해결 방식에 있어서의 직장문화 차이 등 주로 남북한의 차이와 현금 위주의 물질적 정착지원 제도를 주된 배경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남한주민들의 인식 전환을 위한 계몽 및 교육프로그램, 아이베스트(iBEST)운동의 전개, 북한이탈주민 자립·자활을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 재설계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gap on the causes and background of mal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which take pla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North Korean workers and South Korean managers. This study stems from the research question that the nature of causes of mal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can be observed only through the analysis on the daily life interaction between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 n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perception. This study conceptualizes workplace as ‘contact zone’ and performs comparative case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 from interculturalism. First, this study identifies that there is perception difference in the priority of barriers of adaptation between North Korean workers and South Korean managers. South Korean managers emphasize personal barriers, such as job attitude, performance ability, and personal relations, while North Korean workers put stress on sociocultural barriers, such as the bias and discrimination of South Korean natives. Secondly, this study finds out that there is perception difference in the background of barriers of adaptation. South Korean managers emphasize excessive support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 vestige of workplace culture under the communism, while North Korean workers stress the linguistic problem and the gap in communication style and the practices of labor relations. Based on the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alternatives includi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recognition change of South Korean natives, iBEST movement, and the re-design of independence and self-support programs for North Korean refuge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