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33.107
18.224.33.107
close menu
KCI 등재
다문화 멘토링에 참여한 멘토의 상호문화역량 탐색
Exploring the Intercultural Competency of Mentors who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Mentoring
오세경 ( Sekyung Oh ) , 김미순 ( Misoon Kim )
다문화와 평화 10권 2호 116-133(18pages)
UCI I410-ECN-0102-2017-330-00038266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인 멘토의 다문화 멘토링 활동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여 상호문화역량의 요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 문제는 “멘토의 다문화 멘토링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와 “다문화 멘토링의 활동 경험을 통해 배양될 수 있는 멘토의 상호문화역량의 요인은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 멘토링 활동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대학생 멘토들을 대상으로 질적 면담을 하였고, 지속비교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멘토의 다문화 멘토링 경험의 유형은 열림과 닫힘 경험, 타자와의 관계 맺기 경험, 문화 매개자로서의 역할 경험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멘토의 다문화 멘토링 활동 경험을 통해 도출된 상호문화역량 요소는 열림과 닫힘 경험 유형에 문화 다양성 인식, 열린 마음, 갈등·문제해결 역량이 포함되고, 타자와의 관계 맺기 경험유형에서는 다름 대한 인정, 공감, 상호문화 의사소통 역량으로, 문화매개자로서의 역할 경험유형에서는 비판적 사고, 자아효능감, 사회적 실천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문화 멘토링 활동을 통해 기존 편견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경험한 멘토의 상호문화역량을 강화하고, 세계를 바라보는 확장된 시각으로서 글로컬 한 관점과 다양한 문화에 대한 높은 수용 능력의 소통 요인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multicultural mentoring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factor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Hereby,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What is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mentoring experiences of mentors?” and “What factor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can be fostered through the multicultural mentoring experience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qualitative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with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been evaluated as outstanding multicultural mentors. The types of multicultural mentoring experiences of mentors were analyzed as understanding of others and other cultures, build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 role of a cultural mediator. Also, the intercultural elements deducted from the multicultural mentoring experiences of mentees consisted of cultural diversity awareness, open mind, conflict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e in the closed and opened; understanding others, sympathy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in build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well as intercultural understanding, sense of self-efficiency and cultural practice in the role of the cultural mediator.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strengthening intercultural competence of mentors who, through multicultural mentoring activities, experienced reflective introspection about existing prejudice, and examining the glocal point of view as an extended vision of the world, as well as communication elements of high accommodation about diverse cultur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