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200.66
3.138.200.66
close menu
KCI 등재
노동관련 법률에서의 장애차별실태 및 개선연구
A Study on the Employment Discrimination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Labor Law
나운환 ( Na Woon Hwan )
UCI I410-ECN-0102-2017-370-00038332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고용차별 행위를 우리나라 노동관련 법률에 기반ㆍ분석하여 관련 법률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노동 관련 법 형식은 헌법을 포함한 61개이며 차별행위 기준은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직접차별, 간접차별, 정당한 편의제공에 따른 차별행위이다. 연구 결과 첫째, 법 형식 61개 중 차별건수는 총 136건으로 법 형식당 2.22건의 차별이 있으며 간접차별이 63.2%인 86건으로 다수를 차지하며 직접차별도 10건으로 나타났다. 법률별로는 고용보험법이 15.4%인 21건으로 가장 많고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이 19건, 근로기준법이 14건으로 나타나 노동법에서 가장 기본적 성격을 띠는 법률에서 차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법 형식별로는 법률이 73.5%인 100건으로 법 제정 당사자인 국회가 우선적으로 법률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법 제정 시기별로는 91년 이후 최근 법률에서 차별적 요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그 이전 법률에서는 장애인의 노동관련 사항이 법 내용에 규정되는 사례가 많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장애인의 고용차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노동관련 법률들의 개선이 필요한데 결과에서 제시된 많은 법률들을 동시에 개선하기 보다는 차별행위 금지효과가 큰 헌법과 직접차별적 행위를 규정하고 있는 법률들과 고용보장에 관한 법률들을 우선적으로 개선한다면 장애인들에게 체감되는 효과는 클 것이다.

In recent years, changes in the economy and cultural norms about work and social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wrought significant changes in patterns of employment, so that membe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employed in jobs today that they could not have held before the beginning the contemporary civil right era. As a result of changes in education and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bout employ ment rights, people with disabilities no doubt are more aware of their rights than in the past. As a result, there are many more claims of discrimination than in the early 1980s and 1990s. The purpose of this paper analyses the degree of the employment discrimination in the labor law and ultimately to suggest more effective ways of discrimin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creasing the employment discrimin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y, revised a labor law. Also, improves the laws which drive simultaneously, if improves the direct discrimination, labor standard law and employment insurance law etc. with precedence, the effect will increase. Second, there is a necessity provision the resonable adjustment and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legitimate in law. And,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se own decisive ability is feeble and there is a necessity which will divide from this process. Third, to encourage a social movement and facilitate voluntary compliance with the anti-discrimination laws among employers and the public.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